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정신분열병의 인지재활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Schizophrenia

  • 23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인지기능의 장애를 보인다는 점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들어 인지결함에 대 한 치료적 개입의 가능성이 시사되면서 정신분열병의 인지재활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재활과 관련되어 제기되는 몇 가지 질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1) 인지재활은 무엇인 가?;2) 정신분열병의 정보처리 모델에 따른 인지재활 방법은 어떤 것들이 가능하겠는가?;3) 인지재활의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4) 몇몇 인지기능 결함에 대한 인지재활 방법은 어떻게 하는 것인 가?;5) 인지재활을 시행함에 있어 고려해야할 임상적 상황은 무엇인가?;6) 정신분열병의 인지재활에 대 한 비판적 견해는 어디에 그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는가?;7) 인지재활은 향후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야할 것인가?에 대해 개괄하였다. 기존의 연구결과 많은 제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지재활의 가능성이 시사되며 이점에서 국내에서도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지재활을 시도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disturbances in their cognitive function. Recently, due to the increase of the possibilitie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ognitive deficits, cognitive rehabilitation is being tried by clinicians in the management of schizophrenia. Our study has considered several questions that have been raised in relation to cognitive rehabilitation. 1) What is cognitive rehabilitation?;2) What are its strategies?;3) What strategy of cognitive rehabilitation is appropriate to several cognitive deficits?;4) What kind of cognitive rehabilitation method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r schizophrenia?;5) What is its clinical considerations?;6) On what theoretical basis does the critical view of cognitive rehabilitation have its roots?;7) Which direction should it follow? Despite its limitation, there are still great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of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we feel that it should be tried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this country

서 론

인지재활의 정의

정보처리모델-역량모델(capacity model), 단계모델(stage model), 파급모델(pervasiveness model)-

인지재활의 일반적 방법

몇몇 인지기능 결함에 대한 인지재활 방법

인지재활을 시행함에 있어 고려해야할 임상적 상황

정신분열병의 인지재활에 대한 비판

인지재활의 발전 방향

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