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정신분열증 환자의 인지재활을 위한 사회지각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Social Perception Scale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50

연구목적: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군 및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여 Brenner등의 인지재활전략에 합당하며, 시각지각 과 분위기지각으로 세분화하여 사회지각 결핍을 발견할 수 있고, 바람직한 신뢰도 및 변별력을 갖춘 사회지 각척도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저자들은 다양한 사회적 상황을 나타내는 사진 30장 중에서 통합심리치료연구팀의 구성원들의 의견 일치 에 따라서 10장의 사진을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에 저자들은 시각지각 소척도와 분위기지각 소척도로 이루 어진 문항을 개발하였고 이를 사회지각척도 예비판으로 삼았다. 이를 만성정신병원의 정신분열증 환자 20명 에게 실시하였고, 다음으로는 DSM-IV의 정신분열증 기준에 부합되는 대학정신병원 폐쇄병동의 환자 20명 과 정상인 20명에게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신뢰도가 낮은 항목을 제외하여 최종 사회지각척도를 구성하였다. 저자들은 사회지각척도의 항목 난이도를 만성정신병원 환자들과 대학병원 환자들 간에서 비교하였다. 마지막 으로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군과 정상인 대조군 사이의 사회지각척도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최종 사회지각척도는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점자간 신뢰도의 값에 따라서 6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사회지각척도는 정신분열증의 두 집단 간에서 유사한 항목 난이도 순위를 보여 주었다. 정 신분열증 환자군은 분위기지각 소척도의 점수(t=-3.09, p<.01) 및 사회지각척도의 전체 점수에서(t=- 3.33, p<.01) 정상인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지각척도는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점자간 신뢰도 및 변별력이 우 수하며, 정신분열증의 인지재활전략에 직접적인 응용 및 인지재활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으 로 여겨진다.

Objectives: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order to develop the social perception scale which could detect the deficits of the social perception, composed of visual perception and contextual perception,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might have the desirable reliability and discriminating power betwee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normal controls, and so as to be appropriate to the schizophrenics’ cognitive rehabilitation strategy of Brenner, et al. Methods:We selected 10 photographs among 30 photographs which could show the variable social situations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the staff members of the Integrated Psychologcal Therapy. Then we developed the questions, composed of visual perception subscale and contextual perception subscale, which we called preliminary social perception scale. We tested the above scale to the 20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the chronic mental hospital. Then we tested the above scale to both the 20 patients meeting DSM-IV criteria for schizophrenia in the closed ward of the university psychiatric hospital and the 20 normal controls. We developed the final social perception scale to exclude the items of inadequate reliability. We compared the item difficulties of social perception scale between the patients in the chronic mental hospital and those in the university psychiatric hospital. Finally, we compared the scores of social perception scale betwee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normal controls. Results:The final 6 items were selected to become the social perception scale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item-total correlation,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e final social perception scale showed similar rank of item difficulties between two groups with schizophrenia. The patient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normal control group on the scores of contextual perception subscale(t=-3.09, p<.01) and the total scores of social perception scale(t=-3.33, p<.01). Conclusion: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bove social perception scale which has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interrater reliability and the discriminating power. This scale can be applied to both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trategy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토 론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