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흡연이 청각사건관련전위 P300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흡연이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흡연자 24명과 비흡연자 14명을 대상으로 흡연 전 후에 지표학적 전산화 청각 사건관련전위 검사를 시행하고 이를 아직까지 흡연연구에 시도된바 없는 전부위 장력 측정법으로 잠복기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흡연군과 비흡연군사이에서 P300의 잠복기를 비교하였을 때, 흡연군에서 흡연전값이 324.0±30.1 흡 연후 값이 309.8±31.5였고 비흡연군에서 흡연전값이 329.6±49.6 흡연후 값이 344±48.3으로 흡연군에 서 비흡연군에 비해 흡연 후에 잠복기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흡연군과 비흡연군사이에서 P300의 최고전위점의 전위값을 비교하였을 때, 흡연군에서 흡연전값이 3.99±1.87 흡연후 값이 4.39±1.53였고 비흡연군에서 흡연전값이 4.53±1.57 흡연후 값이 3.92±1.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흡연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최고전위점의 전위값이 흡연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흡연군과 비흡연군사이에서 P300의 최고전위와 최저전위의 차(difference between MAX and MIN) 를 비교하였을 때, 흡연군에서 흡연전값이 7.86±4.11 흡연후 값이 8.67±2.90였고 비흡연군에서 흡연전값 이 9.64±3.58 흡연후 값이 8.18±2.9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흡연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최고전위와 최저전위의 차값이 흡연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그 외의 측정요소인 최고전위점의 전위값의 2차원 등전위 분포도상의 좌표, 최저전위점의 전위값과 그 좌표를 흡연전후에 비교하였을 때 두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흡연이 청각 사건관련전위에 미치는 영향은 잠복기가 감소하고 최대 전위값과 최대전위와 최저전위의 차가 증가하는 소견을 보여 흡연이 흡연자에서 인지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The authors studied the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the cognitive function with topographic mapping of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Methods:The subjects, 24 smokers and 14 nonsmokers, were assessed in the latencies and amplitudes of topographic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determined by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Result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300 latencies between smokers and controls after smoking (ANOVAR, F=10.45, p=0.0026).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300 amplitude but a trend was pres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fter smoking(ANOVAR, F=3.77, p=0.06).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difference between amplitude in maximal point and amplitude in minimal point but a trend was present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fter smoking (ANOVAR, F=3.68, p=0.063).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ximal point in X-axis and in Y-axis, minimal point in X-axis and in Y-axis of P300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fter smoking. Conclusions:These results support that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change by cigarrete smoking is indicative of enhanced cognitive function.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