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에서 전두엽과 미상핵의 뇌자기공명영상상 연구

Quantitative Morphology of the Frontal Lobe and the Caudate Nucleus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28

목 적:미상핵은 전두엽의 각 부분으로 부터 입력신호를 받고 있어서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의 원인을 연구하는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에서 전두엽과 미상핵의 정상 적 비대칭성이 어떻게 관찰되는지를 뇌자기공명영상상을 통하여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DSM-III-R의 진단 기준에 맞는 14명의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남아(평균연령 11.1, 표준편 차 3.0)와 16명의 두통 대조군(평균연령 10.6, 표준편차 2.5)에서 뇌자기공명영상상을 후향적으로 모집하 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미상핵이 가장 잘 보이는 축영상중한 단면을 선택하였다. 뇌자기공명영상상은 평판형 스캐너로 읽어들여서 Brainimage Pascal 2.3.3.1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화소수 및 면적을 측정 하였으며, 검사자간 신뢰도는 0.89 이상이었다. 결 과: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우측 전두엽과 우측 미상핵의 면적이 컸다. 그리고 이 차이는 대조군에 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두엽과 미상핵의 정상적인 비대칭성이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환아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우측전두엽발달과정의 문제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원인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Because the caudate nucleus receives inputs from the dorsolateral prefrontal and orbitofrontal cortices, it is the area of the interest with ADHD patients in many researches. To identify the lack of normal asymmetry in the frontal lobe and caudate nucleus of the subjects with ADHD, one slice of brain MR images for each subjects were selected, and planimetric method was applied and analyzed. Methods:The brain MR images of 14 ADHD boys who met the DSM-III-R diagnostic criteria and 16 headache control group were collected. Single best view for the head of the caudate nucleus, one axial slice was selected for analysis. MR images were redigitized with flatbed scanner and data were analyzed with Brainimage Pascal 2.3.3.1 software. Pixel counting and area measurements were done. Interrater reliabilities were 0.89 or greater. Results:In both ADHD and control groups, right caudate area was slightly greater than left side, and this difference were more significant in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rmal asymmetry of frontal lobe and the caudate nucleus was not observed for the ADHD group. Conclusion:The normal asymmetry of the frontal lobe and the caudate nucleus was not seen in boys with ADHD.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