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소년의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뇌량 및 측뇌실의 계량적 특성분석
Quantitative Morphologic Analysi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Corpus Callosum and Lateral Ventricle in Boy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이용수 0
초록
By means of retrospective quantitative neuroanatomic imaging, the authors assessed the corpus callosum and the lateral venticle in the boy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e midsagit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pus callosum, divided into seven regions, and the axial ventricle-brain ratio were measured from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18 boys with ADHD and 15 comparison boys. Two anterior regions, the genu and the rostral bod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smaller areas in the ADHD boy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entricle-brain ratio between ADHD and comparison boys. This finding supports the theory of abnormal frontal lobe development in ADHD.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참 고 문 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1)
- Methylphenidate 투약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청각 사건관련전위의 변화
- 집단정신치료의 내용과 과정
- 한국판 분열형 성격척도의 타당화 예비연구
- 고등학생 스트레스의 횡문화적 연구:연변의 한족, 조선족 및 서울의 한국인 비교
- 대학운동선수의 식사특성과 우울성향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Alzheimer형 치매 의심:경도 Alzheimer형 치매 및 대조군과의 인지기능 비교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소년의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한 뇌량 및 측뇌실의 계량적 특성분석
- 항정신병 약물 비폭로, 치료 중 및 만성 시설화 정신분열증 환자에서의 연성 신경학적 징후의 비교
-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
- 만성 정신분열증 음성증상에 대한 Mianserin 효과
- 입원환자 집단정신치료 모델:주치의 중심의 통합적인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