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에 대한 문헌 고찰
Electroencephalography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 곽호성(Kwak, Ho-Soung) 박지혁(Park, Ji-Hyuk)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재활치료과학
- 신경재활치료과학 제7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05
- 9 - 16 (8 page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손상 환자의 신경학적 변화 측정도구인 뇌전도의 측정도구 및 방법, 평가와 분석방법을 알아봄으로써 임상영역에서 뇌전도 측정 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 베이스인 Pubmed, Science Direct를 사용하였으며, 주요검색 용어로 ‘Electroencephalography’, ‘stroke’, ‘intervention OR training’을 사용하였다. 결과 : 뇌전도는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재활의 효과를 뇌의 활성화 상태 변화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기능적 뇌 재조직화 매커니즘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전도 측정도구의 경우 다양한 채널, 전극의 형태 및 전극 부착 부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과해석에 사용되는 주파수 또한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 뇌전도는 중재에 대한 효과성을 신경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작업치료 를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EEG (electroencephalogram) basic data in clinical areas through identifying measurement tools, measurement methods, and evaluation and analysis method of the EEG which is a neurological change measurement of patients with brain injury. Methods : Previous studies were found in an electronic database (e.g., PubMed, Science Direct). The keyword search terms were ‘Electroencephalography’,‘stroke’, ‘intervention OR training’. Results : Utilitizing brain-computer interface, the EEG, which is a tool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through changes of brain activation state. Also, it could identify functional brain reorganization mechanism. Whenever a research utilized the EEG, which is composed of various channels, different types of electrode, and varied electrode locations. Conclusions : Through this review, we found that Electroencephalography is possible to neurological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and formulate an intervention strategy for efficient occupational therapy.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