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성 구성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1)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 구아름(AReum Ku) 남상인(SangIn Nam)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5호
- 2018.05
- 491 - 501 (11 pages)
탄력성은 자기효능감, 희망 등과 더불어 긍정심리자본 중의 하나로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20년간 점차적으로 탄력성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 연구들이 탄력성을 설명하는 이론적 입장이나 관점에 따라 탄력성의 구성개념에 상이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탄력성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국내에서 개발된 청소년 탄력성 측정도구 7개를 대상으로 탄력성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탄력성의 구성요소는 다차원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개인 내적 자원과 외적 자원들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탄력성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탄력성 개념이 매우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탄력성 구성요소를 면밀하게 이해하고 연구목적과 대상에 적합한 척도를 선정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심리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이 자신의 개인적 강점과 삶의 의미를 알고 성공적인 적응을 설명하는데 탄력성이 주요 개념으로 안착하기 위해 긍정심리학 관점에서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검증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Resilience attracts wide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sychology as is on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dition to self-efficacy and hope. Although resilience research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over the last 20 years, the concepts of resilience are different among the existing studies depending on the theoretical position or perspective that explain resilience. Therefore, seven resilience scales developed in Korea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resilience. Components of resilience hav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resilience in terms of interac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In conclusion, since the concept of resilience is very complex,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appropriate scale for the study purpose and the target. Finally, we proposed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esilience programs and effectiveness validation studies to establish the main concept of resilience in explaining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youth in psychologically difficult situation.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탄력성의 구성요소
4. 맺음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