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학업성취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Knowledge Achievement,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한승희(SeungHee Han)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5호
- 2018.05
- 661 - 671 (11 pag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학업성취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시에 있는 4년제 2개의 간호대학에 다니는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2017년 4월부터 한 달간 조사하여 196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빈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를 SPSS WIN 20.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21, p<.001)를 보였고, 학업성취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90, p<.01)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은 양의 상관관계(r=.665, p<.001)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 성향(β=-.536, p<.001)와 학업성취도(β=-.283, p<.001)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모형의 설명력은 45%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 비판적 사고 성향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knowledge achievement,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196 nursing students who were 2 nursing universities in Gwangju, April 2017. Data wa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Win 20.0.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knowledge achievement, knowledge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regression analysis,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wer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knowledge achievement. Theres factors explain 45% of the variance in academic self-efficacy. Therefore, to increas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knowledge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improv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과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