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교차주문의 위험도 분석을 위한 FTA응용

FTA application for Risk Analysis of Order Crossover

  • 17

수요자가 주문한 부품이나 원재료가 다음 기간의 주문한 것 보다 늦게 도착하는 현상을 교차주문이라고 한다. 공급사슬관리에서 최적의 재고정책들은 교차주문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가정한다. 교차주문이 발생하면 재고정책이 최적의 해를 보장하지 못한다. 교차주문의 원인은 주로 리드타임의 지연으로 발생하는데, 리드타임의 지연은 공급자 문제, 교통체증, 세관절차 지연, 운송시 사고 등의 여러원인으로 발생한다. 교차주문이 일어날 경우에는 일반적인 재고정책과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되기 때문에 교차주문이 일어날지를 미리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차주문이 일어날 가능성을 결함수분석(FTA)로 예측하고자 한다. 결함수분석은 특정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나무형태의 사건들의 결합으로 나타내어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계산한다. 교차주문을 최종사건으로 정의하고 최종사건을 일으키는 다른 사건들을 연결하여 나무를 만들고 사건들의 서브사건을 정의하고 나무를 확장 시키면서 최종사건을 일어나게 만드는 모든 사건이 나무형태로 연결되게 하여 각 나무의 잎에 해당하는 사건들의 확률을 계산한 후에 이 확률들을 이진결합으로 합하여 최종사건의 확률을 계산한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한 예제를 통해 결함수분석을 이용하여 교차주문을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보여준다.

Order crossover occurs when raw materials or components buyer ordered does not arrive until the materials the buyer ordered at the next period arrive. Optimal policy of inventory control in the supply chain management assumes that there is no order crossover. Under the order crossover, the optimal inventory policy does not guarantee the optimal solution. Lead time delay mainly causes the order crossover. Lead time delay is due to various sources such as the supplier problem, traffic congestions, delay in custom, accidents in transportation. Since we have to use different inventory policies when order crossover happens, estimation of order crossover is necessary.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the order crossover using fault tree analysis (FTA). FTA calculates the possibility of the event with combining the probabilities of sub events in the form of the event tree. Order crossover can be defined as the final event which consists of sub events that cause the final events. The event tree grows with expanding the leaves of events. All events in the leaf are connected with the cause of the final event. Probabilities of events in the leaf are given and combined with binary combination. This procedure finds the probability of the final event. In this paper, we show a numerical example how FTA is used to calculate the possibility of order crossover.

1. 서론

2. 관련연구

3. 결함수 분석 (FTA)

4. 결함수 분석을 이용한 교차주문 예측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