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의학전문대학원생의 진로설계 프로그램 모형에 따른 의학세부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의식성숙도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Career Design Program of Medical Students

  • 89

의과대학생이 의학 전문분야를 선택하는 것은 대학의 전공을 선택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진로의 사결정과정의 하나이다. 그러나 의대생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연구는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의전원 2학년 74명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세 그룹이다. A그룹은 소그룹 토론식 프로그램을 수강한 그룹이며, B 그룹은 대그룹 강의식 프로그램을 수강한 그룹이며, C그룹은 프로그램을 수강하지 않은 그룹이었다.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의학세부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의식성숙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에서 세 집단의 동질성이 확보되었다(p>0.05).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A그룹은 내적 동기 요인 (t=-2.600, p<0.05)과 진로의식성숙의 하위요인 중 결정성(t=-2.575, p<0.05)과 독립성(t=-2.244, p<0.05) 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B그룹은 진로의식성숙의 하위요인 중 독립성(t=2.202, p<0.05)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소규모 토론식 진로설계 프로그램이 내적동기와 진로의식성숙의 결정성과 독립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The choice of a medical specialty by medical students is as important as the choice of a college major.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areer planning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design program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in 74 second medical students. The subject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roup A was small group, Group B was large group, Group C did not take the program. In order to analyze the program effect, we conduct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questionnaire. Pre-test ensured homogeneity among the three groups (p> 0.05). A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ernal motivation(t=-2.600, p<0.05), and the decisiveness(t=-2.575, p<0.05) and independence(t=-2.244, p<0.05) of career maturity. B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independence. In conclusion, a small group based career plan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nal motivation for career choice, decisiveness and independence of career maturity.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