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거주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요실금 증상, 신체상 및 성기능
Urinary Incontinence Symptom,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of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Community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4호
- 2018.04
- 823 - 833 (11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요실금 증상, 신체상 및 성기능의 정도를 확인하고,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에 있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및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30세부터 75세까지의 성생활을 하고 있는 복압성 요실금 여성 191명으로,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요실금 증상, 신체상 및 성기능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그리고 entered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요실금 증상은 7.56±4.38점, 신체상은 65.75±15.94점 그리고 성기능은 14.67±10.55점으로 나타났다.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상, 요실금 증상, 케겔운동 수행, 폐경상태(폐경 후기), 폐경 후 기간 그리고 한 달 동안 성관계 횟수가 확인되었으며,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60.2%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복압성 요실금 여성의 성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련 요인들을 바탕으로 이들의 성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제언한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level of urinary incontinence symptom,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and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Methods: A sample of 191 subjects aged 30 to 75 years was participa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7. Data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urinary incontinence symptom,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entere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Urinary incontinence symptom,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scores of subjects were 7.56±4.38, 65.75±15.94, and 14.67±10.55, respectively. Variables including body image, urinary incontinence symptom, Kegel s exercise(yes), menopausal status(post-menopausal), postmenopausal period and number of sexual intercourse per month explained 60.2% in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onclusion: When nurses plan sexual health education to improve sexual function of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rinary incontinence symptom, body image, and urinary incontinence-related factor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