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여가활동이 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ss and Leisure Activities on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Employees
-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8권 4호
- 2018.04
- 883 - 891 (9 pages)
이 연구는 직장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여가활동이 직업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직장인 321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여가활동이 상호작용하여 직업만족과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첫째,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직장인들보다 낮은 직장인들의 직업만족과 행복이 더 높았고 그 차이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여가활동을 자주 하는 직장인들이 그렇지 않은 직장인들보다 직업만족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에, 행복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직업만족과 행복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여가활동의 상호작용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와 그 하위구성요소들은 직업만족 및 행복지표들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여가활동과 그 하위구성요소들 중 여행기반 휴식적 여가활동은 직업만족과 행복지표들이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섯째, 개인스포츠 기반 신체적 여가활동과 외출기반 휴식적 여가활동은 행복지표들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많은 여가활동 중에서도 간접 활동보다는 직접 개입하는 참여형 활동이 직업만족을 높이고 행복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직장인들의 직업만족과 행복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뿐만 아니라 여가활동을 적극 활용한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leisure activ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is study was to test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 of job stress and leisure activ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with data that participate 321 workers. First, workers who job stress was low more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an those who job stress was high,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Second, workers who leisure activities did frequently more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n 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whereas happiness was significant.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job stress and leisure activities o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was not significant. Fourth, job stress and its sub-compone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dicators. Fifth, leisure activities and sub-compone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dicators. Sixth, physical leisure activities based on personal sports and leisure activities based on outing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appiness indica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articipatory activities, which directly intervene rather than indirect activities,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respond positively to happiness among many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employee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utilize leisure activities actively as well as ways to reduce job stress.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