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인지인문학과 인지적 화용론의 연계성

The connection between cognitive humanity and cognitive pragmatics

  • 178

인지인문학은 인지과학의 체계적이며 역동적인 학문의 틀과 인문학이 융합된 새로운 패러다임의 실천적 논의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어문학, 역사, 철학 등으로 불리던 인문학의 학문적 영역이 매우 배타적인 것에 반해, ‘인지인문학’은 이 시대 인간을 바르게 읽어내는 동시에 인간과 문화 언어 환경을 연계시켜 미래사회에 다함께 소통할 수 있는 상징적 학문체계를 구축하는 연구의 일면이라 생각한다. 필자는 인문학과 인지과학적 영역을 통섭해줄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의 일축으로써, 사회문화적 특성을 규명토록 하는 다학제 다학문적 측면의 실험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모든 환경과 인간 삶이 상호작용한다는 의미에 초점을 두고 환경과의 상호작용 행위 가운데 매 상황에 대한 역동적인 반응들이 단편적으로 한 시점에서 고립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시점에 연결이 되어 순간순간 상황들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것들이 연결되어서 이루어낸 마음이 미래 인지인문학이 밝혀내야 할 과제임을 인식하였다. 실험 기제로 광고 속 언어를 인지적 화용론에 접목시켜 올바른 의미를 도출한 뒤, 이 시대 인간, 환경, 미래, 본성 등의 문제가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인문적 사고와 연결되어 있는지 그 의미 체계의 재구성을 제언하고자 했다.

Cognitive humanities is a practical discussion of a new paradigm; this is the humanities converged with the systematic, dynamic and academic frame of cognitive science. By now, the academic field of humanities so called literature, language, history and philosophy has been exclusive. On the contrary, ‘Cognitive humanities’ is considered as a part of the research that constructs symbolic academic system which enables peop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future society by understanding contemporary human being in a right way and connecting humans with culture-language environments simultaneously. In this paper, experimental pragmatics in the multidisciplinary field will be represented; this discussion will allow the social-cultural characteristics to be clarified as the part of a new study integrating humanities with cognitive-scientific field.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meaning of all environment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 so that the dynamic responses to each situation are not isolated at all but connected at one point in time. It combined the language in advertisements with a research mechanism to derive the correct meaning by applying it to the cognitive chemical theory, and then connected it with the humanitarian thinking system based on the positions of human beings, environment, future, and nature in question.

1. 들어가기

2. 확장된 인지와 인지인문학의 융복합

3. 인지인문학과 인지적 화용론의 연계가능성

4. 나가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