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51.jpg
KCI등재 학술저널

강원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 고찰

A Study on the Round Clay Rim Pottery Culture in Kangwon Region

  • 190

본고는 지금까지 조사된 강원지역의 점토대토기 출토 유적의 양상을 바탕으로 그 상한연대 및 전개과정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그동안 발굴조사된 유적을 중심으로 입지와 분포, 유구의 규모와 구조, 그리고 출토 유물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강원지역 점토대토가 출토 유적의 양상을 살펴보면 영서지역과 영동지역 간에는 입지 및 유구의 규모와 구조는 차이가 없으나, 점토대토기의 형태 등 출토 유물의 양상에 다소 차이가 있다. 필자는 유구와 유물의 양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강원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영서에서 영동지역으로의 단선적인 전파가 아니라 여러 전파경로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적의 탄소 연대 측정결과를 검토해 보았을 때, 점토대토기문화의 상한연대를 기원전 4세기 후반에서 2세기 전반으로 보고 있는 기존의 연구 결과보다 시기가 앞서고 있으며, 지석묘의 하부구조에서 확인되는 사례도 있어 강원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는 이전의 지석묘를 축조하던 무문토기문화와 일정 기간동안 병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The Archaeological sites of so called Round Clay Rim Pottery(Jeomtodaetogi : 粘土帶土器)culture in Kangwon region have been rarely excavated in proper form. Since most cases belong to those of ground surface gatherings, it is difficult to certify the nature and the association with other artifacts, Therefore, researches on that culture have been Limited to simply set the chronological order in the Bronze Age in realtion with the Plain Pottery culture. However, a comparative study trying to explain the Round Clay Rim Pottery culture in both Yeongseo(嶺西)and Yeongdong(嶺東)has become possible thanks to recent excavation results from the sites of Chilgeon-dong(漆田洞)in Chunchon City(春川市)and Songrim-ri(松林里)in Kangneung City(江陵市),for example. Certain difference can be observed in form and amount of artifacts in between Yeongseo and Yeongdong. Such difference can be seen as individual localization in different places diffused from a common source, rather than showing different stages of unilineal developmental process of one culture. The Round Clay Rim Pottery culture seems to have been coexisted with the Rim-Perforated Pottery(孔列土器)and Dolmen(支石墓)culture. According to the radiocarbondatings, the upper time limit of the Round Clay Rim Pottery culture goes back considerably beyond the alleged upper Limit of either the late fourth century or the second century B.C.. However. both cultures absorbed into the Iron Culture during the same period.

요약

Ⅰ. 머리말

Ⅱ. 강원지역 점토대토기 출토 유적의 조사 현황 및 양상

Ⅲ. 강원지역 점토대토기문화 고찰

Ⅳ. 맺음말

參考文獻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