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64.jpg
KCI등재 학술저널

경산 중산동 고려시대 건물지의 성격 -문자기와의 분석을 통해서-

The Character of Goryeo Building Ruins at Jungsan-dong of Gyeongsan as judged by the Excavated Roof Tiles with Inscription (文字瓦)

  • 236

경산 중산동 유적에서는 고려전기에 조영된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건물지의 내부에서는 문자기와를 비롯하여 통일신라시대 금동불, 동곳, 청자 등이 출토되었다. 그 중 눈길을 끄는 것이 문자기와인데, 건물의 성격을 가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명문에는 ‘瓦草’라는 단어가 동반되어 있다. 사실 ‘瓦草’명이 동반된 기와는 그 출토사례가 전국을 망라하고 있다. 시기적으로도 통일신라에서 고려전기에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절대연대에 버금가는 연대관을 부여할 수 있다. 건물지는 후대의 교란으로 인해 잔존 상황이 불량한 상태였다. 다만 잔존 유구를 바탕으로 추정된 범위는 대략 84m²에 달한다. 건물의 존속 시기는 고려시대 당대에 한정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후행하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기와문양인 청해파문이 전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명문의 내용은 ‘道揚?瓦草’이다. 여기서 ‘道揚’은 목판본에서 흔히 ‘道場’과 호환되고, ‘?’는 사당의 ‘昭穆’의 의미로 사용되며, ‘瓦草’는 ‘기와’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명문의 내용은 ‘도량의 기와’ 정도로 해석된다. 이를 통해 건물의 성격을 가늠해 보면, 개인이 발원한 소규모 불당으로 이해된다. 건물은 화재로 인해 폐사되었고, 더 이상 유지 보수되지 못한 상태로 放棄되었다. 건물의 폐사 원인을 고려할 때 무인집권기 최씨정권이 만든 山川裨補都監에 의한 사원정리, 몽고의 병란 양자를 시야에 넣을 수 있다. 경산 중산동 유적에서 출토된 금동불상과 문자기와의 가치는 고려시대 지방 유력자에 의해 경영된 원당의 유행을 가늠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Remains of a building, which had existed in Goryeo early period, were found at the ruins located in Jungsan-dong of Gyeongsan. From the building, roof tiles with inscription, gilt bronze sculpture from Unified Shilla period, top-knot pin and celadon porcelain were excavated. Among them, the roof tiles with inscription attracted attention. The inscription contained useful information in judging the character of building. Especially, the inscription included the word, ‘W?-c?o(瓦草)’. Roof tiles containing the word ‘W?-c?o(瓦草)’ have been excavated from nationwide places. Since the roof tiles with ‘W?-c?o(瓦草)’ inscription were made during the limited period from Unified Shilla to early Goryeo, it is possible to judge the year of building existence close to absolute year. The building remains were poor because of damage in later period; however, it was possible to know the size of the building from the building ruins coverage that the building was not so big. Since the roof tiles do not have Q?ng-h?i-b?-wen(靑海波紋) pattern, which is a typical pattern carried by roof tiles made during Joseon period, it is believed that the building existed within the time period of Goryeo only. The roof tile inscription is ‘Dao-yang-shao-w?-c?o(道揚?瓦草)’. Here, ‘Dao-yang(道揚)’ was commonly used for ‘Dao-chang(道場)’ in woodblock print. The character ‘Shao(?)’ was used to mean ‘Zh?o-mu(昭穆)’, while ‘W?-c?o(瓦草)’ means roof ti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judge the character of the building from the inscription on roof tile. The building was a Buddhist temple which also performed the function of praying shrine of an individual. The building had been lost by fire and it was abandoned without recovery. The cause of building loss may be the closing of Buddhist temples by the authority in military government(山川裨補都監), which was established by Choi family during military regime period(崔氏武人政權). Another possibility is that it was destroyed when Mongol army invaded Goryeo. The bronze sculpture and inscription tiles excavated from the ruins at Jung san-dong, Gyeongsan, are valuable and sufficient in guessing the style of Buddhist ceremony and the trend of Buddhist circle during the Goryeo-period.

요약

Ⅰ. 머리말

Ⅱ. 문자기와의 분석

Ⅲ. 건물지의 존속시기와 성격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