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59.jpg
KCI등재 학술저널

大邱 桐華寺 소장 〈사명당 진영〉의 제작자와 제작연대

A Study on the Painter and Year of Creation of The Portrait of ‘Samyeongdangdaejang’ at Donghwasa Temple in Daegu

  • 86

대구 팔공산 桐華寺에는 조선후기에 조성된 고승 진영이 31점 남아있다. 이 중 현재 보물 제1505호로 지정된 〈사명당 진영〉은 화면 좌측(向右) 하단에“嘉慶元年丙辰…”(1796)이라는 묵서가 남아 있어 그 제작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작품으로 주목되어 왔다. 하지만 화면의 구성이나 색감 등이 18세기 후반의 진영 양식과는 전혀 다른 古式으로 표현되어 있어, 학계에서는 17세기 후반설, 1796년 하한설, 1796년설 등 그 제작연대에 대해 다양한 학설들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명당 진영〉의 도상과 함께 세부표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통해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대구 팔공산 일대에서 활약한 桐華寺大畵員義均作의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본 논고에서는 현존하는 義均작품의 佛畵들과 동화사 〈사명당 진영〉에서 확인되는 공통된 표현 요소들을 비교ㆍ검토하였다. 첫째, 法衣에 표현된 동심원(바람개비)문양을 살펴보았고, 둘째, 法座, 臺座, 足座, 枇杷등에 표현된 나무결 장식문양을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인물표현에서 드러나는 세부적인 공통 요소들을 검토하여 〈사명당 진영〉이 義均작품임을 증명하였다.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高僧들의 眞影중 제작연대와 제작자를 알 수 있는 작품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桐華寺大畵員義均스님이 그린 〈사명당 진영〉은 제작자와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조선후기 고승진영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을 수 있다. 더불어 현재까지 조사된 기년명 고승진영들이 모두 18세기 이후의 작품들로 볼 때, 17세기 말~18세기 초에 그려진 동화사 소장 〈사명당 진영〉은 17세기 고승진영의 특징을 알 수 있는 작품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There are 31 portraits of high Buddhist monks created in the late Joseon at Donghwasa Temple located in Mt. Palgong of Daegu. Of the portraits, The Portrait of Samyeongdangdaejang, Treasure No. 1505, has “Gagyeongwonnyeonbyeongjin(嘉慶元年丙辰)...”(1796) written in Chinese ink in the lower lefthand corner and has been thus considered as a work whose year of creation can be estimated. Despite the written clue, however, the academy has presented many different theories about its year of creation including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before the year 1796, and the year of 1796, given that its canvas composition and color uses were in an old styl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is study raised a possibility that it was painted by Master Painter Uigyun, whose scope of activity covered Mt. Palgong centered around Donghwasa Temple between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based on its form and characteristics with detailed expressions. The study compared his remaining Buddhist paintings with The Portrait of Samyeongdangdaejang for common expressive elements including, firstly, the “concentric circles” (weather vanes) patterns on the sacerdotal robes, secondly, the “wood grains” patterns on the Beopjwa(法座), Daejwa(臺座), Jokjwa(足座), and the Korean mandolin(琵琶), and finally the detailed common elements on the expressions of the figures, proving that The Portrait of Samyeongdangdaejang was painted by Uigyun. Of all the portraits remaining in the nation today, only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portraits of high priests have a clear year of creation and painter. Thus the study presents The Portrait of Samyeongdangdaejang painted by Master Painter Uigyun of Donghwasa Temple as one of the greatest portraits of high priests from the latter half of Joseon whose painters and years of creation are confirmed. Given that all the portraits of high priests whose years of creation are written on the canvas were created in the 18th century or later, The Portrait of Samyeongdangdaejang painted in the late 17th century claims its significance as a reference of the 17th-century portraits, which remain not very well known in the nation.

요약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고승 진영의 형식과 동화사 소장 〈사명당 진영〉

Ⅲ. 桐華寺 畵僧 義均作品과 〈사명당 진영〉의 양식적 특징 비교

Ⅳ. 畵僧 義均 作으로서 〈사명당 진영〉의 의미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