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46.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전 노은동 구석기유적의 석기 연구

Paleolithic industry of the Noeun-dong site in Daejeon, Korea

  • 113

대전 월드컵경기장 건립지역에 자리를 잡은 노은동 구석기유적은 1998~1999년 사이에 두 차례 발굴되었다. 노은동 유적은 해발 약 60~75미터의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한다. 퇴적물 분석과 연대측정 결과에 따라, 후기 갱신세의 퇴적층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석기는 4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4기는 중기 구석기시대 말기, 3기는 중기-후기 구석기시대, 2기와 1기는 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하며, 그 가운데 l기에서 가장 많은 석기가 출토하였다. 노은동 1기를 대표하는 유물의 대부분은 3지점에서 출토하였다. 이곳에서 출토한 유물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15,000년부터 10,000년 사이에 속한다. 돌감은 혼펠스, 석영, 규암, 안산암, 미문상화강암, 미화강암, 응회암 등으로 구성된다. 전체 유물 가운데 혼펠스가 가장 많은 양(70.5%)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석영(23.4%)이다. 3지점의 석기는 몸돌, 잔손질되지 않은 격지류, 잔손질된 석기, 찍개, 여러면석기 및 자갈돌 부스러기로 이루어진다. 돌날과 좀돌날은 기본적으로 혼펠스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잔손질된 석기는 긁개, 밀개, 새기개, 홈날과 톱니날, 뚜르개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혼펠스로 만든 다양한 형식의 새기개는 노은동 l기의 석기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점유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3지점의 석기는 작고 가벼운 작은일석기(light duty tool)의 비중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The Noeun-dong Paleolithic site located at the construction area of Daejeon World Cup Stadium, has been excavated two times between 1998 and 1999. The site is situated at 60-75m above sea level on a gentle slope. According to the absolute dating results and the geological evidences obtained from the Upper Pleistocene deposits, the Paleolithic industry discovered from the Noeun-dong site can be divided into four stages: Stage 4 should be attributed to the late Middle Paleolithic Age, Stage 3 to the Middle/Upper Paleolithic Age, Stage 2 to the early Upper Paleolithic Age, and Stage 1 to the late Upper Paleolithic Age. Among these four stages, most of the artefacts were revealed from Stage 1,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brown or pale brown soils. The lithic industry representing Stage 1 has been excavated at the locality 3 between 15,000 and 10,000 bp. Raw materials are composed of hornfels, quartz, andesite, quartzite, micrographic granite, quartz-feldspar porphyry, aplite, tuff, etc. Hornfels (70.5%) and quartz (23.4%) were used as main raw materials. Blades and micro-blades are usually made of hornfels. Cores, unretouched flakes and debris, retouched tools such as scrapers, endscrapers, burins, notch and denticulates, borer, chopper, and fragments of a polyhedron and a pebble were unearthed from the locality 3. Especially the artefacts of the locality 3 are represented by several types of burins made on truncation or transverse break. Judging from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the locality 3 that shows the very high ratio of small and light stone tools may be interpreted as a spot, occupied for a short period relatively.

〈요약〉

Ⅰ. 머리말

Ⅱ. 유물 출토현황과 시기구분

Ⅲ. 3지점의 석기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