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58.jpg
KCI등재 학술저널

러시아 연해주와 주변지역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의 편년과 동태

Chronology and Movements of Pottery of the Early Era of Neolithic Period in the Russian Primorye and Nearby Area

  • 119

한반도의 중동부지역과 남부지역에 분포하였던 평저토기군을 역사적으로 올바로 위치지우기 위해서는, 동해안을 따라 북쪽에 위치한 중국동북지역과 러시아 연해주, 아무르강 유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러시아 연해주와 그 주변지역의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의 편년과 동태를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한반도 중동부지역 평저토기와의 정확한 교차편년을 시도하였다. 연해주와 주변지역의 신석기시대 전기 토기군은 문양과 그 시문기법에 의해 계통이 서로 다른 5군의 토기로 분류된다; 첨저스탬프압날문토기, 스탬프압날문토기, 융기문토기, 다치구압인문토기, 압인집선문토기. 유적에서의 층위적 출토양상과 공반관계 등을 토대로 이 5군 토기의 선후관계와 병행관계를 검토하여 6단계의 변천안을 도출한 후, 각 토기계통별 분포의 변화와 공존양상, 절충토기군에 대한 분석을 통해 토기문화의 동태를 살펴 보았다. 스탬프압날문토기가 연해주-아무르강하류역을 중심으로 분포할 때, 연해주 남부에는 첨저스탬프압날문토기가 출현하여 평저의 쵸르타 바로타식 스탬프압날문토기와 공존하였다. 이후 연해주-아무르하류역에는 스탬프압날문이 점차 소멸하면서 다치구문이 유행하게 되는데, 연해주 남부에서는 첨저스탬프압날문토기의 전통을 이어받은 보이스만식 다치구압인문토기가 성립하고 마략 르발로프식 스탬프압날문토기와 병존하였다. 다음 단계에 자레체식 다치구압인문토기는 연해주 남부-아무르중류-아무르하류라는 넓은 지역에 걸쳐 확산되어 앞 시기의 지역적 분포범위를 넘어서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한편, 한반도 중동부지역 평저압날문토기의 존속기간은 러시아 연해주지역에 스탬프압날문토기와 보이스만식 다치구압인문토기가 존재하던 시기와 대체로 병행한다고 볼 수 있다. 평저압날문토기가 단순한 스탬프문중심에서 다치구문이 추가되는 문양으로 변천해 가는 양상도 러시아 연해주지역의 토기 변천 양상과 매우 유사한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에 러시아 연해주와 한반도 중동부지역에서는 정보의 교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보이스만식 다치구압인문토기 단계(1)=문암리7층기에는 그러한 교섭관계가 특히 강화되어 양 지역 간의 정확한 교차편년이 가능하였다.

To understand flat bottom pottery, distributed in eastern midland and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standing of Neolithic culture in the Northeast China, Primorye of Russia and Amur River area is necessary. In this thesis, to respond to the necessity, chronology and movements of the early era of Neolithic period in the Russian Primorye and nearby area are studied. Pottery of the early Neolithic era of Primorye and nearby area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depending on pattern and inlay method; sharp-bottomed pottery, stamped pottery, appliqued pottery, stepped-back comb pottery, and stepped-back blade pottery. After six-level change process, as the chart 11, is extracted, after reviewing order and parallel of the five pottery types based on layer excavation and coexistence relationship. And then, status of pottery culture is studied through analysis of each pottery class’s distributional change, coexistence and overlapping pottery class. While stamped pottery is located in lower area of the Primorye and the Amur River, in southern Primorye, sharp-bottomed pottery existed. It seems that sharp-bottomed pottery coexisted the flat bottomed stamp pottery. Afterward, in Primorye-Amur downstream area, stamp pattern gradually disappeared and comb-stamp pattern became popular, and in southern Primorye, Boisman-type stepped-back comb pattern,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 of sharp-bottomed pottery, appeared. Boismantype stepped-back comb pattern pottery is not found in the downstream of the Amur. In next level, Zarechye-type stepped-back comb pattern pottery expanded to wide area of the southern Primorye-Midstream of the Amur and Downstream of the Amur, causing the collapse of local character of the previous period. Therefore, such status of the pottery reflects movement of human groups, basically.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groups of people in the Primorye and nearby area communicated closely through the network of information that was maintained by pottery type, and created new class of potteries without rupture of group. On the other hand, the existence period of the flat bottom pottery of eastern midland of Korea more or less correspond to the period when stamped pottery and Boisman-type pottery existed in Primorye. The change from stamp to comb in flat bottom pottery in eastern midland of Korea is also similar to that in Primorye. Perhaps, between the two regions, exchange network continuously existed. Boisman 1stperiod and Munamri 7th layer are when the exchange was particularly strong,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s of this research is finding the accurate cross dating between the regions. Also, considering coexistence of diverse potteries in Primorye, the necessity to realize it as change to diverse classes, rather than linear change, is recognized.

요약

Ⅰ. 머리말

Ⅱ. 토기편년에 대한 연구사 검토

Ⅲ. 토기의 분류

Ⅳ. 편년

Ⅴ. 토기 문화의 동태

Ⅵ.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