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66.jpg
KCI등재 학술저널

박물관 관람객 관점에서 본 소통력 높은 도자공예 용어 연구

A Study on Ceramic Terminology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Museum Education ? based on Visitor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about Ceramic Terminology ?

  • 73

박물관은 공공을 위해 존재하는 기관이므로, 일반인들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박물관에서 쓰고 있는 도자공예 용어들은 관람객들이 소통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관람객들의 도자공예 용어 이해도와 선호도를 설문조사하여, 도자공예 용어의 소통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측정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도자공예 용어의 일반 전문용어로서의 적합성을 살피고, 용어의 정보전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건들을 찾아, 관람객들에게 가장 효용성 높은 도자공예 용어의 형태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람객들의 도자공예 용어 이해도는 35.1%에 불과했다. 도자공예 용어의 이해도는 용어가 한자어냐 고유어냐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고, 관람객들은 도자공예 용어를 글자 뜻이 아닌 음성언어로 받아들여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도자공예 용어의 낮은 소통력과 달리, 관람객들은 박물관이 공공기관이고 교육의 장소이므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용어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셋째, 쉽고 익숙한 도자공예 용어는 관람객과 박물관 콘텐츠 사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기억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질 높은 박물관 경험, 특히 박물관교육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어려운 도자공예 용어를 모든 관람객이 보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전문용어로 만들기 위해서는 용어사용자인 관람객들의 어휘량과 어휘빈도를 고려하고, 쉬운 우리말과 익숙한 한자어를 적극활용해야 한다. 우리의 사고와 가치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문화가치를 창출해내는 박물관에서의 소통력 높은 도자공예 용어의 사용은 선택사항이 아닌 공공기관으로서의 의무라고 본다.

Terminology in museums should be easy enough to understand because the target audience is the public, not the experts. However, ceramic terminology in museums is not so easy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museum cont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ceramic terminology and its fitness as the public terms through measuring visitors’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about ceramic termin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sitors understood only 35.1% of ceramic terminology. Understanding of ceramic terminology did not differ depending on whether it was Sino-Korean word or Korean native word, and visitors tended to interpret ceramic terminology as vocal language, rather than character language. Second, visitors reported that they preferred easy terms to current difficult ceramic terminology, and it should be easy because the museum is not only the public organization but also the public educational space. Finally, easy and familiar ceramic terminology is effective in the museum education because it is easy to remember and encourage the interaction between visitors and the museum contents. It is necessary to use easy Korean native words and familiar Sino-Korea words and consider visitors’ vocabulary size and lexical frequency in order to make ceramic terminology comprehensible. It is mandatory to use terminology, which has the high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museum education because the museum is the public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creating the cultural value and forming our thoughts.

요약

Ⅰ. 머리말

Ⅱ. 관람객들의 도자공예 용어 이해도

Ⅲ. 관람객들의 도자공예 용어 선호도

Ⅳ. 소통력 높은 도자공예 용어가 박물관 경험에 미치는 영향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