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57.jpg
KCI등재 학술저널

발굴조사를 통해 본 나주객사 유적의 구조변화

The Structural Transition of Naju Gaeksa from the Excavation

  • 188

본고는 나주객사의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나주객사의 중ㆍ개수를 통한 구조 변화를 확인하고, 조선시대 지방객사의 구조가 사회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조선시대 객사는,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위한 지방 읍치 내 중심건축물로, 모든 의식이 치러졌던 주공간(정청, 동ㆍ서익헌)과 객사의 지원을 위해 조성된 부속공간(부속건물, 유흥공간 등), 그리고 주공간에 들어서기까지의 진입공간(외ㆍ중ㆍ내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공간 구조는 사회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러한 변화 양상은 나주객사 유적의 발굴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사신의 유숙과 접대가 주 기능이었던 조선 전기 객사는 유숙시설과 그 주변의 완상공간 조성이 우선시 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 당시 나주객사지 내 건물유구 또한 다소 산발적인 구조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 객사의 주요기능은 정청에서의 행례의식으로 변화하였다. 이 시기 나주객사 내 건물 배치는 정청과 양익헌을 갖춘 객사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객사 일곽 또한 중문을 중심으로 행례공간과 그 외 공간으로 명확하게 구획되어졌다. 그리고 19세기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약화된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한 노력에 발맞춰 나주객사는 주 건물을 제외한 모든 공간에서 대대적인 구조변화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한일합병 이후 일제의 의도적인 해체로 인해 나주객사는 군청으로 사용된 정청(금성관)을 제외한 그 밖의 영역이 모두 일반인들의 거주지로 변화되었다.

Gaeksa(객사) was built to spread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ing system to regional area according to Confusianism in Joseon Dynasty.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regional Gaeksa was influenced by the social circumstances the Joseon Dynasty. This thesis has examined how the structure of regional Gaeksa changed during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structural change of Naju Gaeksa which was excavated. As the Gaeksa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regional Gaeksa changed with the transition of society. In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when the major role of Gaeksa was lodging and reception, building a place for leisure as well as for lodging was highlighted. But, after the mid Joseon Dynasty, the ceremonial function of Gaeksa was the most important due to the growth of Sarim(사림) and Yehak(예학). This is verified at the Naju Gaeksa site which was divided ceremonial space and other space. At the time of King Gojong, he tried to recover regional facilities including Gaeksa with purpose of intensifying King power. But most of regional Gaeksa lost its function and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after the Korea and Japan annexation. Naju Gaeksa also had changed after Japanese Invasion to Korea in 1597. At this time, main hall, left and right wing quarters changed to typical apparence. Also, division of ceremonial function and practical function became clear. After then, In the 19th century, Naju Gaeksa was reconstructed. At this time, it had 1st inner gate and 2nd inner gate. After the Korea and Japan annexation in 1910, Naju Gaeksa lost most parts except for the main hall(Geumseonggwan) which was used as a political office, other facilities were used as a residence of general public.

요약

Ⅰ. 머리말

Ⅱ. 지방객사의 기능 및 구조변화

Ⅲ. 유구에서 보이는 나주객사 공간구성

Ⅳ. 나주객사의 시기별 구조변화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