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68.jpg
KCI등재 학술저널

백제 사비도성 고지형면 복원의 시론적 검토 -GIS분석법을 활용하여-

The review of historical topography reconstruction in Sa-bi palace, Baekje dynasty - Using GIS -

  • 181

본 연구에서는 백제 사비기의 고지형면 복원을 위하여 부여 사비도성 내 발굴 유적의 백제 사비기층의 해발고도값을 이용하여 공간통계학적 기법 중 하나인 크리깅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고지형면을 복원할 수 있었으며, 현재의 지형면에 비해 고지형면의 곡의 폭과 깊이가 컸던 양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부여읍 구아리 일대의 고지형면에서는 부소산 남서사면의 말단에서 곡이 확인되었고 곡의 상부인 현 지형면의 천곡(淺谷)과 연속적으로 발달하여, 해당지점의 사비기 고지형면은 우곡 또는 항상천(恒常川)에 의해 침식이 진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지형면의 지형적 특질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관북리 유적의 도로유구를 기준으로 측선을 설정, 단면 양상을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측선A-A 가 통과하는 관북리 유적 다 지구의 남쪽은 지형의 삭평으로 인한 유구의 유실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현재 부여여자고등학교 남쪽 일대에서 곡두의 두부침식(頭部浸蝕)으로 인한 분수계의 후퇴로 추정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즉 사비기의 쌍북리 일대 해당 지형면의 분수계는 지금보다 동쪽으로 50m 가량 치우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측선 A-A 는 부소산의 사면 말단과 분수계를 가로지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측선 B-B 의 경우 정림사지 북쪽 구릉의 말단에서 현지형면을 지시하는 등고선의 인위적인 삭평(혹은 절개)양상이 확인되었고, 정림사지가 위치한 지형면에서 퇴적 양상이 가장 강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측선 B-B 는 부여여자고등학교 남쪽 일대에서 시작하는 곡저와 금성산 서쪽사면에서 시작하는 곡저가 연결되는 지점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reconstruction of Sa-bi period(in Baekje) topography(geomorphic surface) for use spatial statistics technique(kriging) through strata of historical site. As a result, We reconstruct historical topography that reflect characteristic of research site and recognize complexion that valley width and depth of past topography is bigger than present. Past topography of Gu-a ri area in Buyeo show the valley in southwest slope of Mt.Bu-so and the valley evolve upper shallow valley in present topography. Hence, past topopgraphy progressed erosion cause by stream or gully. In addition to that, topographic profile line based in road remains of Guan-Buk ri site setted for identification of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high possibility of remains loss by denudation(or grading) can be observed in southern part of Guan-Buk ri site that across profile line A-A and the complexion, estimate at recession of watershed by headward erosion revealed in southern part of Buyeo Girls’High School. And that means watershed of past topography in Ssang-buk ri area must be biased to eastward approximately 50m. Profile line A-A traverse slope distal of Mt. Bu-so and watershed. Northern hill distal of Junglimsaji in profile line B-B show complexion of artificial grading (or dissection) and place in Junglimsaji show strong sedimentation. Profile line B-B traverse connected valley plain that start in southern place of Buyeo Girls’ High School and western slope of Mt.Keumsung.

요약

Ⅰ. 머리말

Ⅱ. 연구방법

Ⅲ. 부여 사비도성 내부에 대한 백제시대 고지형면 복원

Ⅳ. 결론 및 향후 과제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