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68.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요기법과 누금세공기법으로 본 신라 금공예의 수용 과정

An acceptance process of Silla’s goldwork in terms of Buyao technique and filigree technique

  • 438

이 글에서는 신라 금공기술의 수용과정을 보요기법과 누금세공기법의 금공기술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 두 기술은 모두 실크로드를 통해 신라에 새로이 유입된 금공기술이다. 이 두 기법의 수용과정은 신라 금공의 계보와 성격을 살펴보는 작업과 연관된다. 먼저 보요기법을 살펴보면, 인도 쿠샨 왕조 성립기인 1세기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 유적의 보요관과 관식에 보이는 보요장식은 거의 동시기인 1세기 선비족 무덤인 內蒙古 科左后旗 哈拉烏 蘇毛力吐&#22030;&#26597;의 봉황관식에서 살필 수 있다. 한반도 보요장식의 제작기술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모용선비다. 모용선비 장인이 제작한 보요기법은 금실을 3~4회 꼰 다음 보요를 매달아 그 떨림을 배가시켰는데, 이러한 기법은 고구려 禹山墓區 太王陵에서 발견된 보요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이는 선비족의 금공 장인이 고구려 금공 장인에게 보요기법을 전수한 것을 의미한다. 이 기법은 신라 보요에도 적용되어, 다시 고구려 장인이 신라 장인에게 알려준 기술의 전수 과정을 읽어낼 수 있다. 즉 중앙아시아의 금공 장인이 내몽고의 선비족 금공 장인에게, 다시 요서의 모용선비의 금공 장인이 고구려의 금공 장인에게, 다시 고구려 금공 장인이 신라의 금공 장인에게 보요기법을 전수한 연결고리가 있다. 실크로드의 네트워크에 따른 장인들의 인적 교류가 주목되는 것이다. 신라의 금공기술에는 보요기법과 같이 초원 실크로드를 타고 동점된 기술만이 접목된 것이 아니다. 누금세공기법 중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금제보석감장팔찌>에 보이는 보석감장을 결합한 누금세공기법은 보요기법의 루트를 통해 신라에 전달되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금환연접구슬은 선비족 유물에서는 찾을 수 없는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남방지역의 해상실크로드를 타고 올라온 새로운 기법이었다. 이 기법이 고구려에 수용된 다음 다시 신라식으로 변용되어 귀걸이의 중간식으로 또 금관의 수하식의 연결부로 적극 사용되었다. 이 글에서는 신라 금공예의 전개 과정에서 실크로드 네트워크를 통한 장인들의 교류를 통해 새롭게 수용된 신라 금공기술의 국제성과 신라만의 독자성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d acceptance process of Silla’s metalwork technique in terms of Buyao technique and filigree technique. Aforementioned two techniques were introduced into Silla through silk road. Acceptance process of the aforementioned two techniques is related to work that examines tra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illa’s metalwork. Buyao technique is found in Buyao placed in remains of Tillya Tapa, Afghanistan in first century when Kushan Dynasty of India was established and Buyao which has shape of oriental phoenix placed in 蒙古 科左后旗 哈拉烏 蘇毛力吐&#22030;&#26597; which is a grave of Seonbi tribe in first century. Wha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echnique of producing Buyao in the Korean Peninsula is Moyongseobi whose main field of action is Yoseo region. An artisan of Moyongseobi twisted gold thread three or four times and hung Buyao on it to increase vibration and such technique is also found in Buyao which was placed in 禹山墓區 太王陵 of Goguryeo, which means that Buyao technique of Seonbi tribe was handed down to artisans of metalwork in Goguryeo. The technique was also applied to Buyao produced in Shilla which suggests that Buyao technique of Goguryeo was passed down to artisans of metalwork in Shilla. Artisans of metalworks in Central Asia passed Buyao technique to those in Seonbi tribe and artisans of metalworks in Seonbi tribe handed Buyao technique to those in Goguryeo and artisans of metalworks in passed Buyao technique to those in Shilla, which suggests that there might be exchange of artisans of metalworks through silk road. It seems that filigree technique which is found in <Geumjeboseokgamjangpalji> uncovered in Hwangnamdaechong Bukbun was passed to Shilla through route of Buyao technique. Geumhwanyeonjeobguseul is not found in remains of Seonbi tribe and it was introduced into Shilla through marine silk road of India, South-East Asia and southern China. After the technique was introduced into Shilla from Goguryeo, artisans of Shilla modified it for ear ring or golden crown which reflects that artisans of Shilla applied the techniques so that they could be suitable for its purpose and use. Shilla Dynasty had world’s best metalwork of the time by continuously accepting metalwork techniques from foreign countries. This paper examined characteristics of metalwork techniques that Shilla accepted from foreign countries through silkroad network

요약

Ⅰ. 머리말: 금의 문화사적 의미

Ⅱ. 신라 금공의 표면장식 기법의 수용 과정과 특징

Ⅲ. 맺음말: 신라 금공예의 국제성과 그 의미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