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39.jpg
KCI등재 학술저널

삼국시대 봉토분의 호석에 대하여 - 성주 성산동고분군의 신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one Circles of the Mound Tombs Dated the Three Kingdoms Period -A New Discovery from Mound Tombs at Seongsan-dong, Seongju County-

  • 118

영남지역의 삼국시대 고분은 대형 봉토분이 지역별로 군집을 이루고 분포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봉토분들은 일반적으로 封墳 基底部에 원형 혹은 타원형의 護石을 설치하고 있다. 호석은 봉토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묘 둘레에 구축한 시설이면서 분묘의 범위를 나타내는 경계선이기도 하다. 이러한 호석 시설은 수혈식 석실의 봉토분 및 횡혈식 석실분은 물론이고 경주의 적석목곽분에도 설치되고 있어 삼국시대 봉토분의 일반적인 축조방식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봉토분의 호석들은 현재는 대부분 봉토 속에 묻혀 있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있으나 원래는 봉분의 밖에 노출되어 있었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필자는 섬주 성산동고분군의 삼국시대 봉토분 28기와 기존에 조사된 4기 등 32기의 기저부를 조사하면서 호석의 형태를 면밀히 관찰하게 되었다. 이번에 조사한 32기의 봉토분 중에서 호석을 가지고 있는 고분은 27기였으며, 호석이 없는 고분은 5기에 불과하였다. 즉, 성산동고분군의 봉토분들은 대부분 타원형 호석이 설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성산동고분군의 호석들은 대개 원형 혹은 타원형의 봉분 외연 전체를 둘러 설치하였고, 축조방법은 자연석이나 할석으로 2단내지 3단을 옆으로 뉘어 바깥 면을 정연하게 쌓은 것이 가장 많고, 할석 l단을 옆으로 돌린 것도 있다. 호석의 높이는 1단 10㎝로부터 4단 1m까지 있으나 2~3단 30~50㎝가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축조방법이나 축조양상으로 볼 때 삼국시대 봉토분의 호석은 대부분 봉분의 밖에 노출되어 축조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외곽 호석 관습이 통일신라 이후에 왕릉의 12지상 호석으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호석이 있는 삼국시대 봉토분을 복원정비 할 때에는 護石을 封墳 밖으로 노출시켜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In the Yeongnam region, many clusters of large scaled mound tombs dated the Three Kingdoms Period have been found to be distributed over many places. Such mound tombs usually have stone circles. These stone circles function to prevent from tomb mound collapsing and they are designed to demarcate tomb boundaries. These stone circles have been discovered from mound tombs with vertical access, mound tombs with horizontal access, and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 at the Gyeongju area. So they are considered to be widely adopted at the mound tombs dated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has very high possibility that the stone circles of the mound tombs might be originally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could be visible, although they have been buried with tomb mounds at the moment. So I have begun to investigate features of stone circles of mound tombs very carefully upon the excavation of twenty-eight mound tombs at Seongsan-dong, Seongju County in addition to the previously excavated four mound tombs. Among the newly excavated twenty-eight mound tombs, some have small tomb mounds with 10m in diameter. Some have large tomb mound with 25m in diameter. So mound size varies from tomb to tomb. Among the thirty-three mound tombs at Seongsan-dong, Seongju County, twenty-seven tombs have turned out to have each stone circle. Only three tombs do not have any stone circles, Four tombs have been destroyed too much so that it is hard to check whether they have their stone circles or not. Through the above-mentioned examples, it is possible to say that in most cases, mound tombs at Seongsan-dong, Seongju County might have their stone circles. Stone circles surround the boundary of the round or oval tomb mound as a whole. Two or three layers of stone, sometimes, one layer of stone, have been constructed to form stone circles. One stone circle has five layers which is 80㎝ high. These evidences strongly suggest that stone circles of the mound tombs dated the Three Kingdoms Period might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mbs in most cases. And finally such a tradition to expose stone circles to the outside of the tombs might be developed to the twelve zodiac animals of the royal tomb as the tomb guards after the Unified Silla Period. Therefore in the future it will be desirable that stone circle should be exposed to the surface upon the reconstruction of the mound tombs dated the Three Kingdoms Period.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星山洞古墳群의 護石資料

Ⅲ. 封土墳 護石의 성격과 복원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