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39.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소의 상징성·경계성과 유적의 성격

Symbolism·Boundary of pla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chaeo logical sites

  • 73

우리들의 일상생활속에 밀착되어져 온 장소의 상징성ㆍ경계성에 주목한다면, 고대의 유적 및 고고학적 현상의 성격과 배경의 일단을 아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밝히고자하였다. 사례로서는 고대의 경주지역의 월섬해자유적에 보이는 死體放棄, 불교사원 건립이전에 이미 전통신앙의 성소였던 天鏡林, 유적형성 초기단계에는 소규모의 집단의 자유의지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천변에 정착했다고 보여지는 隍城洞 製鐵遺蹟을 들었다. 이들 유적 및 고고학적 현상의 입지와 성립배경에는 그 입지장소인 하천변, 구(構, 垓字)등이 聖과 俗, 淸淨과 不淨이 교차하는 상징적 경계 장소였다는 점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I intend to show that if we pay attention to the symbolism and boundary of places which are associated with our daily lives, this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the ancient sites, archaeological phenomenas. I will give as examples Sachaebungi(死體放棄), as has been found in the Wolsunghaeja site in the ancient Kyoungju region: and Chungkyoungnim(天境林), which is the sanctum of traditional religio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temples: and the Hwangsungdong site(隍城洞遺蹟) which we assume that a small group of people, by their free will, naturally made a settlement near a stream in the beginning step of the formaton of site. I think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it s sites and archeological phenomena, is deeply related with the concept of the riverside as the symbolic boundary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and purity and impurity.

〈요약〉

Ⅰ. 머리말

Ⅱ.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