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57.jpg
KCI등재 학술저널

朝鮮王室 胎항아리 變遷 硏究

A Study on Changes of Tae-Jars of the Chosun Dynasty

  • 239

태항아리란 조선시대 왕실에서 태어난 자손의 태를 담아 보관하는 항아리를 말하는데, 태항아리는 태를 담은 내항아리와 내항아리를 담은 외항아리로 구성된다. 그 동안 조선시대 왕실에서 사용된 태항아리는 한국 도자사에서 절대연대의 기준을 제시하는 표식적인 유물로 알려져 왔다. 태실 내에 함께 매납되는 태지석에 태항아리의 제작시기를 가늠할 수 있는 태주의 탄생일과 장태일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자들은 태실의 조성시기인 장태일을 기준으로 태항아리의 절대연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대설정은 태를 처리하는 왕실산속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단지 태지석의 장태일을 절대연대의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왕실 산속에 따르면 대부분의 태항아리는 왕실자녀가 태어나기 전에 미리 제작되어 구비하기 때문에 태항아리의 제작시기는 장태일보다는 탄생일을 기준할 경우 오차범위도 크게 줄어들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그동안 장태일을 기준한 태항아리의 절대연대는 탄생일로 재고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글에서는 조선시대 태항아리의 시기별 변천과정을 검토하는데 중심을 두었다. 조선시대 요장의 운용과 생산도자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관요설치 이전과 관요설치 이후로 나누어 요장과 출토자기의 특징 그리고 태항아리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관요설치 이후로는 백자태항아리를 총 6단계로 구분하여 태항아리의 기형변화와 특징을 상세히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백자태항아리의 제작연대를 통해 관요(생산요장)의 운영시기를 함께 비교ㆍ접근해 보았다.

A Tae (placenta)-jar refers to an earthen container holding and keeping the amnion and the placenta of a child born to the royal family of the Chosun Dynasty and is divided into an inner jar holding the placenta and an outer jar covering the inner jar. The Tae-jar us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Chosun Dynastic has been recognized as an indicative relic presenting the standards for the absolute age in the history of Korean pottery. On the Tae-stone (a memorial stone), kept together with the placenta, the birthday of the Tae-owner and the burial day of the placenta are recorded and most of the scholars use the absolute age based on the burial day of the placenta, which is time for making a Taesil (a room made of stones for keeping the jars containing Tae). However, this age calculation is based on the burial date of the Tae-stone without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oyal family’s childbirth tradition as to handling the placenta. According to the royal childbirth tradition, most of the Tae-jars should be made and prepared in advance before royal children are born. Hence, the time of making Tae-jars will produce a much narrower margin of error when based on the date of birth rather than the date of burial. Based on this, the absolute age of Tae-jars so far calculated based on the date of burial must be shifted to calculation upon the date of birth. This article focused on the process of changes of Tae-jars of the Chosun Dynasty. In order to identify the usage of kilns and the flow of produced jars of the Chosu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kilns and porcelains excavated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ae-jars were studied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kiln of the Chosun Dynasty. Especial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kiln of the Chosun Dynasty, the white Tae-jars were divided into six stages to learn about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forms of Tae-jars in detail. Finally, time of use of the royal kiln was compared and reviewed through the manufacturing years of white Tae-jars.

요약

Ⅰ. 머리말

Ⅱ. 官窯이전의 地方窯와 胎항아리

Ⅲ. 官窯의 運用과 白磁胎항아리의 變遷

Ⅳ. 胎항아리 製作年代를 통한 生産窯場의 接近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