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56.jpg
KCI등재 학술저널

철원 장흥리 구석기유적 흑요석의 성분조성 및 산지 연구

A Provenance Study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Obsidian from Janghung-ri Paleolithic Site, Cheolwon

  • 121

철원 장흥리 구석기 유적에서 출토된 흑요석에 대하여 주요성분을 주사전자현미경(SEM)-에너지분산형분광기(EDS)로 분석하여 화학적으로 분류하였으며, 미량성분은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ICP-MS)로 분석하여 산지분류에 이용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발표된 구석기 흑요석과 우리나라의 흑요석 산지인 백두산 분석자료들을 토대로 철원 장흥리에서 출토된 흑요석들과의 상관관계를 서로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우선 철원 장흥리 출토 흑요석을 주요성분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모두 산성암, 유문암, subalkaline 계열이었으며, 또한 세 흑요석들에 대하여 주요성분의 차이가 큰 원소들을 비교한 결과 철원 장흥리 출토 흑요석은 주요성분의 차이가 있는 두 종류의 흑요석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량성분을 이용한 분류결과와도 일치하는 내용이다. 또한 지금까지 발표된 구석기 유적의 흑요석 분석데이터와 이번에 분석한 철원 장흥리 출토 흑요석을 함께 비교·분석한 결과 철원 장흥리에서 출토된 흑요석은 화학성분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흑요석이 존재하며, 그 중 한 부류는 백두산 흑요석과 화학성분이 유사하며, 다른 한 부류는 강원도 양구 상무룡리에서 출토된 흑요석과 같은 부류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철원 장흥리 출토 흑요석의 경우 일부는 백두산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며, 나머지 흑요석의 산지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양구 상무룡리 흑요석들과 상관관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앞으로도 구석기 유적지에서 출토된 흑요석들을 계속적으로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한다면 각 유적지별 상관관계 및 원산지를 알아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he obsidian excavated from the Janghung-ri paleolithic site in Cheolwon are chemically classified by analyzing the principal composition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EDS) and their provenance classified by analyzing the trace elements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scopy(ICP-MS). In Addition, based on the obsidian analysis data of the paleolithic age published and Baekdusan(mountain), where is the Korean obsidian provenance, a number of obsidian excavated from Janghung-ri paleolithic site are studied about the correlation with them. At first, as the results of chemical classification by analyzing the principal compositions, all of the obsidian are acidic rock, rhyolite and subalkaline series, and three obsidian show relatively much different principal compositions. This result show that a number of obsidian excavated from Janghung-ri paleolithic site are constituted with two kinds of obsidian differed from the principal compositions. This is corresponded to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trace elements. Comparing the previous obsidian analysis published with obsidian excavated from Janghung-ri paleolithic site, the latter is classified by two different kinds of obsidian chemically, in that, one is similar to Baekdusan(mountain) as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other belongs to the obsidian from Sangmuyong-ri, Yanggu. Therefore some of the obsidian excavated from Janghung-ri paleolithic site might be come from Baekdusan(mountain) and the provenance of the rest are not clear so far, but they are much correlated with the obsidian from Sangmuyong-ri, Yanggu. By mean of the further studies about the obsidian of the paleolithic age to make database, it could help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and provenance of the paleolithic sites.

요약

Ⅰ. 서론

Ⅱ. 분석대상 시료 및 분석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고찰 및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