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53.jpg
KCI등재 학술저널

쿰란 고고학의 문제점과 논쟁

Problems and Debates on Qumran Archaeology

  • 72

1947-1956년에 걸쳐 이스라엘 쿰란 지역의 11개 동굴에서 발견된 사해문서들은 대부분 서기전 2세기-서기 1세기에 기록된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구약성서의 본문 역사를 서기 1000년에서 1000년 이상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다. 나아가 1951-1956년에 걸쳐 쿰란 유적지를 발굴한 결과 이곳이 바로 사해문사의 기록 장소인 동시에 당시 주류 유대교로부터 분리된 한 종파인 에세네파의 주거지라는 가설이 지배적이었다. 이때부터 쿰란 유적지와 사해문서 그리고 에세네파가 서로 유기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는 소위 “쿰란학의 삼중 연관설”이 이 분야의 정설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1950년대의 쿰란 발굴 결과가 1994년부터 최종보고서로 출판되면서부터, 이곳이 종교적 건물이라기보다는 군사적 요새, 또는 산업 시설로 개발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쿰란유적지의 성격과 기능에 관한 다양한 해석들이 쿰란 고고학의 최대 논쟁거리로 떠올랐다. 이러한 새로운 해석들은 쿰란 북쪽에 위치한 여리고의 하스몬 왕조 및 헤롯 왕조 시대에 건설된 왕궁 터에 대한 1973-1987년의 발굴 결과가 2001년부터 최종보고서로 출판되어 쿰란의 주거역사가 여리고의 것과 상당 부분 겹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더욱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제 쿰란 유적지의 성격과 기능은 단순히 사해문서의 내용, 또는 그 자체의 발굴 결과만으로 결정짓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여리고를 중심으로 하는 좀 더 넓은 지역적 맥락을 바탕으로, 거시적으로 분석해야할 당위성이 제기된 것이다. 서기전 150년대 이후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독자세력을 갖춘 하스몬 왕조는 동쪽의 나바테야 왕국과 남쪽의 이두 매아 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유대 광야에 강력한 방어망을 구축할 필요성을 느꼈다. 비록 쿰란이 다른 요새들과는 달리 산봉우리에 위치하지는 않았지만 사해 횡단 항로를 통제할 수 있고, 이 지역의 특산불인 소금, 아스팔트, 대추야자 추출액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향유(balsam oil)와 인디고(indigo) 염료까지 생산하는 매우 중요한 산업 시설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서기전 37년 헤롯 왕이 즉위하면서 여리고의 새로운 왕궁 단지와 함께 쿰란의 시설도 확장, 발전되었다. 하지만 서기전 4년 헤롯의 죽음과 함께 여리고의 중요성이 감소되면서 쿰란도 쇠락의 길로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이 시기에 한 무리의 종파적 공동체가 방치된 쿰란의 요새 및 산업 시설을 보수하여 그들의 주거지문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The discovery of the Dead Sea Scrolls from 11 Caves near Qumran, Israel, during 1947-1956 has contributed the lengthening of textual historicity of the Old Testament more than 1000 years(from 1000 C.E. to 100 B.C.E.). Furthermore, the excavation of Qumran itself during 1951-1956 has attributed to establish a theory that this site was not only the recording place of the Dead Sea Scrolls but also the center of the Essenes separated from the main stream of Judaism. From this context, the so-called triple interconnection of Qumranology has been regarded as a main hypothesis in this field. The final reports, however, which begun to be published since 1994 had changed the status completely. Some scholars have argued that Qumran was not occupied as a monastery of the Essenes but had been developed as a Hasmonean military fort, or at least a fortified road-station for controlling the east-west crossing route of the Dead Sea. Others have interpreted this site as an industrial facility for the production of pottery, balsam oil, indigo dye and the gathering place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salt, asphalt, and date-palm essence which abundant in the region. The publication of final reports of Jericho excavations since 2000, has strengthened the theory that Qumran had been subordinated to Jericho as a minor military base and an industrial farm. The Hasmonean dynasty built a network of fortresses in the Judaean desert in 130 s B.C.E. against invasions of the Nabateans from the east and the Idumeans from the south. With the accession of Herod the Great as a king of Judaea in 37 B.C.E., Qumran also became prosperous together with Jericho where new palaces were built. After the death of Herod in 4 B.C., however, with the decline of Jericho as a royal center of the Judean desert, Qumran also experienced the same fate. It seems that with taking advantage of the confusion, a group of a certain Jewish religious sect, called the Essenes, might have occupied the buildings at Qumran and developed as their sectarian center of the Judaean desert in the 1st century C.E.

요약

Ⅰ. 머리말

Ⅱ. 쿰란 공동체 가설

Ⅲ. 롤랑 보드(Roland de Vaux)의 발굴과 삼중 연관성의 확립

Ⅳ. 쿰란 고고학의 미시적 해석

Ⅴ. 쿰란 고고학의 새로운 지평 : 지역적 맥락

Ⅵ.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