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9964.jpg
KCI등재 학술저널

호남지역 원삼국~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조업방식 연구

The Study for The Work Mode of Pottery Kiln in Honam Area from the Proto- 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 247

호남지역에서 원삼국~삼국시대가 되면 토기의 기형이 다양해지고, 색조와 경도 면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나타난다. 토기 생산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이전 단계에 비해 발달된 가마 조업기술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원삼국~삼국시대 호남지역에서 운용된 토기가마의 조업방식을 이해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지역 토기가마 출토유물을 면밀히 검토하고, 직접 가마를 제작하여 토기 소성을 진행하였다. 소성 실험 결과 토기는 동일한 가마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개방 소성 시에는 적색계열을 띠고, 밀폐 소성 시에는 회색계열을 띠었다. 이는 가마 소성품의 색조가 소성 설비에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소성의 마지막 단계인 불막음처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적색계열의 토기도 회색계열의 경질토기처럼 경질소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토기 경도는 최고 소성온도와 소성지속시간의 문제이며, 색조는 얼마든지 조절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살펴볼 때, 호남지역의 원삼국~삼국시대 토기가마는 Ⅱ기에 이르면서 토기 색조와 경도의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과정에서 토기 소성법이 분화/발전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시 말해서 토기 소성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가마에서 소성할 필요성이 없는 토기는 노천요를 이용하는 등 가마 등장 초기보다 소성법이 안정화되면서 가마 조업 상의 기술적 변화도 함께 일어났던 것으로 추정된다.

The shape of pottery becomes to be various and color tone, hardness show fundamental changes from in Honam area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These chenges in pottery production come from work technique of advanced kiln. This writer, therefore, intended to restore work form of pottery kiln operated in Honam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is paper. For this, this study closely investigated relics excavated and tested firing of pottery with making kiln in person. The test result for firing is that although pottery was experimented in same kiln, it was tinged with red line in the case of oxidizing atmosphere in firing pottery and tinged with gray line in case of reducing atmosphere in firing pottery. It is analysed to be result that color tone of firing production in the kiln was influenced not by firing devices, but by treatment of intercepting fire. Pottery of red line can be also possible to be hard firing like hard porcelain. That is to say, the highest firing temperature is important for hardness of pottery, and color tune can be regulated as one wishes. Analysis for pottery excavated in kiln showed that pottery of soft red line was excavated much more than pottery of gray line in the first stage and this proportion became to be reverse in the second stage. The quantity pottery of gray line with hard porcelain grows at exponential rate in the second part of the second stage. Through this result, pottery kiln in Honam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indicates changes in color tone and hardness of pottery, developing from first stage to second stage. It is estimated that firing mode of pottery became to be active and be developed in this course. In short, pottery which don’t need firing in kiln uses open firing structure. It is guessed that this make firing mode stable, compared with early days kiln appeared, and technical changes were made in kiln work as well. It is suggested that this also controlled firing atmosphere in kiln work, and these techniques were adjusted by the subject of that technique, pottery producer’s need.

요약

Ⅰ. 머리말

Ⅱ. 문제의 제기

Ⅲ. 가마와 출토유물 검토

Ⅳ. 가마 소성 실험을 통해서 본 조업방식

Ⅴ. 원삼국~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조업

Ⅵ.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