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직업재활이 우울증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 : 사례연구

The Effec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n Quality of Life in a Client With Depression: Case Study

  • 318
141220.jpg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에게 의미 있는 직업재활의 적용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사례를 통하여 우울증 환자의 퇴원 후 사회적응의 구체적 계획과 같은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서울 소재의 병원에 입원중인 우울증을 진단받은 45세 여성 1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환자 본인이 원하는 직업재활을 실시한 후 적용 전과 후의 우울정도를 알아보고 BDI를 적용하여 우울정도의 변화와 대상자 본인의 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COPM을 적용하였다. 결과 :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환자 본인이 원하는 직업재활을 실시 한 결과 BDI의 점수는 51점에서 30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COPM의 수행도 점수는 3에서 5로 향상하였고, 만족도 점수는 5에서 7.3으로 향상하였다. 결론 : 직업재활 중 환자가 원하는 직업재활의 실시는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단순히 직업재활을 실시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퇴원 후 환자가 직업재활의 경험을 이용하여 지역사회생활 속에서 적응하고 독립적인 경제생활 유지와 사회복귀를 위해 다양하고 많은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s of meaning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by applying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depression disorder client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such as their definite plan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rough case. Methods : The client was a 45-year-old woman with depression disorder. First,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effectineness of occupational intervention. Results :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is shown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ore changes in all areas, BDI score changed from 51 to 30. The COPM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cores changed from 3 to 5 and 5 to 7.3 respectively. Conclusions : When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which clients needs, meaningful changes for client’s degree of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ere found. It can be suggested that when client i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we should put in an effort to provide the community service what they want in order to maintain independence and return to their life successfully.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