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정신과 작업치료의 현황 조사연구
Survey on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Settings in Korea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 제1권 제1호
- 2011.12
- 25 - 41 (17 pages)
본 연구는 정신보건영역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정신과 재활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등록된 협회원의 정보와 연쇄소개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통해 얻은 정보를 취합하여 선정하였으며,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치료하는 정신과 작업치료사 13명 중 1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 기관의 환경, 재활 서비스, 평가방법, 정신과 작업치료의 발전방향과 전망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적으로 정신과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수는 본 연구자의 근무지를 포함하여 총 12개였으며, 근무기관의 형태로는 전문정신병원, 종합병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치료감호소 등으로 다양하였다. 연구자가 근무하는 기관을 제외 한 11개 기관 중 5기관에서 임상실습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작업치료사들은 다양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정신과 작업치료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인력부족과 작업치료 평가도구의 제한적 사용,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부족은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으로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정신과 재활서비스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작업치료사의 전문적인 역할을 모색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정신과 작업치료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condi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mental health wher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 and suggeste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utilized snowball sampling. Thirtee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with adult clients were identified and eleven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mposed of demographic information, work environment, rehabilitation services, evaluation methods, and personal view on the future of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There were 12 institutions(including the researcher’s working site) nationwide where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working. The settings varied as mental hospital, general hospital,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halfway house, and forensic service. Five out of eleven institutions excluding the researcher’s working site were accepting students for fieldwork education.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providing various rehabilitation services. Although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optimistic about the growth of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they were concerned about lack of manpower, limited use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s, and lack of awareness on occupational therapy.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situ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mental health and suggested professional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facilitating the growth of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