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시계그리기검사를 통하여 살펴보고, CDT가 인지적인 차이를 변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학령기에 있는 9세-13세의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각각 110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시계그리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고, 장애급수별에 따른 CDT 점수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반응특성의 차이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아동의 시계그리기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의 점수는 총점과 하위영역인 시계 판(원), 숫자, 바늘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일반아동은 대다수가 시계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그리는 반면 지적장애아동은 모든 영역에서 대부분 오류를 범하였다. 둘째, CDT 점수는 지적장애아동의 급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장애정도가 심할수록 시계그리기 수행능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CDT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도구로 활용가능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betwe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children by using the clock drawing test(CDT)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DT as a screening tool for cognitive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20 school-age children aged 9 to 13 years old, including 110 normal children and 110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CDT was performed by all participants. In terms of data analysis, the t-test,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the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the children s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DT were identifi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DT scor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ther words, the majority of the normal children correctly perceived and drew the clock, while most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de errors in all sub-domain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DT score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e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ore severe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the lower the ability to perform the CDT was. Therefore, the CDT is thought to be a valid screening tool for discriminating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