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1397.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술치료사의 직업적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y Study of Art Therapists’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Art Therapy Practice

  • 302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직업적 어려움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연구를 위해 임상 경력이 3년 이상에서 5년 이하인 미술치료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직업적 어려움을 야기하는 구조적 요인’, ‘직업적 어려움을 야기하는 개인적 요인’, ‘직업적 어려움 극복을 위한 노력’, ‘직업적 어려움 극복을 통한 성장 경험’, ‘직업적 어려움 해결을 위한 기대사항’으로 5개의 구성요소와 1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사들이 경험한 직업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성숙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전문적인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적 어려움은 개인적인 ‘나’와 전문가인 ‘미술치료사’로서 발달을 촉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 연구는 동료 미술치료사들과 후속 세대 미술치료사들이 미술치료 현장에서 직업적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미술치료사들이 전문 인력으로 지지받고 보호받는 제도들이 성립되어 앞으로 미술치료 분야가 더욱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study in depth to the art therapists’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art therapy practice using phenomenology study. The researchers then conducted an in-depth clinical interviews with 6 art therapist who worked for three to five years to collect data and analyzed them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developed by Giorgi and deriv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art therapists’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art therapy practice were categorized into a total of 5 themes including systematic factor what causes occupational difficulties , individual factor what causes occupational difficulties , efforts for endure the occupational difficulties , growth experience through endure the occupational difficulties , expectation matter for solve the occupational difficult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These results showed that an art therapist grow as a not only mature human but also art therapist through overcome the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art therapy practice. In addition, occupational difficulties is thought that it will act as a catalyst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self as an individual and art therapist as a professional.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hat peer art therapists and next generation art therapists improve occupational difficulties in their art therapy clinical field. In addition, I hope that art therapists are supported as professional workers and protected institutionally so the art therapy field will be further developed in the future.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구조로서의 통합: 미술치료사의 직업적 어려움 경험의 정수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