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1381.jpg
KCI등재 학술저널

농인 대상 한국수어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Sig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Deaf and Hard of Hearing

  • 297

이 연구는 농인을 대상으로 한 수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외국의 수어 교육과정 분석과 전문가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어 교육 과정은 이해와 표현의 난이도, 수어사용 맥락의 난이도에 따라 단계를 1단계, 2단계, 3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수어를 사용한 경험이 짧고 수어에 익숙하지 않은 농인을 위한 교육과정이다. 2단계는 현재 수어를 사용하고 농사회의 구성원으로 생활하고 있는 농인을 위한 교육과정이다. 3단계는 이미 수어를 능숙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농사회의 일원으로 생활하고 있는 농인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수어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은 수어 기능, 수어 지식, 수어 태도로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 맥락에 맞고, 수어 특징을 반영하여 수어 수용과 표현을 하여 수어 의사소통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이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최초의 수어 교육과정이며 한국수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전반적인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수어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create standards and objectives in Korean Sign Language(KSL) to identify what Deaf Korean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in order to effectively communicate using KSL. KSL is used as a primary communication mode by deaf and hard of hearing in Korea as well as major part of Deaf Korean culture. However, relatively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create KSL teaching programs or useful materials. For this project, we embarked upon an analysis of foreign countries on sign language curriculums. In addition, before working out this project, we collected data which Deaf Korean demanded for learning KSL effectively. The KSL curriculum consists of three standards: (1) Communication focused on using KSL to engage in conversation, express own ideas, and comprehend statements and questions on various topics; (2) Knowledge emphasized on how to identify the linguistic features of KSL, including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and (3) Culture focused on being aware of cultural patterns or characteristics, participating Deaf community, and obtaining positive Deaf identity. The indicators of KSL curriculum are designed in three levels: (1) Level I indicates that KSL learners as novice are trained introducing basic communication skills to promote KSL proficiency, simple KSL grammar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SL as visual language, and Deaf culture to realize their identity; (2) Level II characterizes that KSL learners as intermediate are taught developing communication skills to comprehend and express in conversation using series of sentences, KSL linguistics to compare with Korean as spoken language, and Deaf culture to understand for foreign countries’; and (3) Level III highlights that KSL learners as advanced are discussed demonstrating communication skills to present information, concepts and idea in KSL as well as person-to-person conversations, comprehending KSL linguistics, and perspectives of Deaf Korean culture.

Ⅰ. 서 론

Ⅱ. 수어 교육과정과 교재 분석

Ⅲ. 한국수어 교육과정 설계

Ⅳ. 한국수어 교육과정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