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게재논문(창간호~2017년)의 연구동향 분석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From 2007 to 2017
- 박보라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제12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06
- 13 - 20 (8 page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작업치료의 주요 연구분야와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7년 4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에 수록된 총 13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정보, 연구형태, 연구대상자의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에 투고된 논문들의 연구자는 2인( 34.53%)이 가장 많았고, 제 1 저자의 직위는 교수(49.64%)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의 진단명은 뇌졸중(44.60)과 치매(41.89%)가 많았다. 연구 정보 수집 장소는 작업치료실(63.82%)이 가장 많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자 정보, 연구수준, 연구대상자 분야로 나누어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추후 한국 고령자치매 작업치료의 연구방향을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ublished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from 2007 to 2017. Method : Articles published from 2007 to 2017 were surveyed, and a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research, level of evidence, and research participants. Result : The analysis outcome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 number of research was 2 researchers per research(34.53%), and principal researchers were professors(49.64%). The most frequent level of evidence was level Ⅳ(56.8%). The most common diagnoses were stroke(44.60%) and Dementia(41.89%). The most common Research Participants Place of searching information is occupational therapy institution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and analyzed the research information of research, level of evidence, and research participants. These results will help readers know the research trends in the Aged and Dementia of occupational therapy, and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amount of evidence availabl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