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졸중 환자 돌봄 제공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Caregivers Burden of Stroke Patients
- 백순형 신중일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제12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06
- 45 - 54 (10 pages)
목적 : 뇌졸중 환자 돌봄 제공자의 부양부담(돌봄부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 돌봄 제공자를 위한 교육 및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추후 뇌졸중 환자 돌봄 제공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KERISS를 통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뇌졸중 환자 돌봄 제공자의 부양부담 연구 총 17건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 뇌졸중 환자 돌봄 제공자에 대한 연구는 2013년 이후 논문이 많았고, 1년미만의 논문이 많았다. 뇌졸중 환자의 주 돌봄 제공자는 배우자가 많았고, 평가도구는 Caregiver Burden Inventory(CBI)가 가장 많았다. 부양부담은 시간, 의존적 부양부담, 재정, 자기 발전적 순이었다. 결론 : 돌봄 제공자의 부양부담감에 대한 탐색 뿐 아니라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과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부양부담감 완화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 정착 및 제도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aregiver burden of stroke caregiver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ducational and useful data for carers of stroke patients and to suggest a study on the burden of caregivers of stroke carers. Method : This study examined 17 caregiver burdens of Korean stroke caregiver contributors over the past decade from 2007 to 2017 through KERISS. Result : The number of researchers who have contributed to stroke caregivers has increased since 2013, and there were more than one year of papers. Caregiver Burden Inventory (CBI) was the most common evaluation tool for stroke patients. Dependency burden was in the order of time, dependent dependency, financial, and self-development.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es on interven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alleviate burden as well as search for burden of caring provider s burden. More systematic programs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relief burden should be neede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