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후기 西學 수용과 배척의 논리 - 星湖學派의 西學觀을 중심으로 -

The logic of Acceptance and Rejection of Western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Centered on Seongho School’s point of view on Western Learning

  • 247

李瀷으로 대표되는 星湖學派의 서학 수용론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서양의 과학기술과 천주교를 분리하였다. 이익은 천주교는 이단이라고 단언한 반면 서양의 과학기술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수용의 태도를 보였다. 둘째, 서양 과학기술의 학문적 우수성과 실용성을 긍정하였다. 이익은 과학기술은 후대로 내려갈수록 더욱 정밀해지고, 비록 聖人의 지혜라고 할지라도 그 이치를 모두 알 수는 없다는 역사적 인식, 그리고 당시 중국의 학문적 능력이 서양보다 뒤떨어져 있다는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서학 수용론을 전개하였다. 셋째, 개방적 학문 태도를 기초로 異端의 학설에 대한 선별적 수용론을 제기했다. 이익은 이단의 책이라고 해도 그 가운데 잡스러운 부분을 제거하고 뛰어난 논의[明論]만 채택하면 된다고 보았다. 넷째, 천주교를 비롯한 이단의 학설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성호학파의 학자들은 다양한 서학 관련 서적을 폭넓게 읽고 장단점을 적출하였다. 이는 서학과 관련된 책을 전혀 읽지 않고 비판론을 제기했던 학자들과 비교할 때 분명한 차별성을 보인다. 성호학파의 서학 수용론과 달리 南人 계열과 衛正斥邪 계열의 闢異端論·斥邪論에서는 서양과학의 우수성에 대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들은 전통적인 이단 배척의 논리에 기초해서 천주교를 ‘無父無君’의 邪學으로 단정했으며, 서양과학의 우수성에 대해서도 부정적 견해를 피력하였다. 서양과학에 대한 비판의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인의 학문적 능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서양의 지식은 ‘한쪽으로 치우친 지혜’라고 폄하되거나 과장되고 황당한 말로 치부되었다. 둘째, 서양과학의 우수성을 소기(小技: 조그마한 재주)의 차원으로 낮추어 보았다. 서양 천문학의 우수성은 禽獸가 지니고 있는 특별한 능력과 다를 바 없다고 여겼고, 서양 학문의 정교함은 ‘日本이나 安南의 정교한 工技’에 비유되었다. 셋째, 중국의 학문과 서양의 기예를 君子의 上達과 小人의 下達로 대비하였다. 넷째, 正學과 異端의 차이를 ‘학술의 차이’에서 찾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主氣·形氣를 위주로 하는 학문과 性命·道理를 위주로 하는 학문의 차이였다.

The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西學) of the Seongho School(星湖學派), represented by Yi, Ik(李瀷), has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is regarded separately from Catholicism. While he has asserted that Catholicism was a heresy, Yi, Ik ha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ly, they have affirmed the academic excellence and practicality of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historical awareness and perception of reality. They have had historical awarenes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becomes more and more precise as it goes down later, and even the wisdom of the saints can not grasp the whole truth, At the same time, they have had perception of reality that China’s academic ability was lagging behind the West at that time. Thirdly, based on the open-minded attitude of study, they have raised the selective acceptance of the doctrine of heresy. Yi Ik has the view that even if it is a book of heresy, they can remove the nuisance part and can adopt only outstanding discussion. Finally, they have explored the doctrines of Catholic and other heretic theories thoroughly. Scholars of the Seongho School have read a wide range of books related to Western learning and extracted pros and cons. This differentiates them from those scholars who have never read books of Western learning and raised criticism. Unlike the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of the Seongho School,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on the excellence of Western science in the Heterogeneism and the traditional logic of heretical rejection, held by those scholars belong to Southerners group and those who have strong opinion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Based on the tradition of heretical rejection, they have categorized Catholicism into the heresy which acknowledges neither king nor father. They have also expressed a negative view on the excellence of Western science. Their criticisms of Western science are as follows. Firstly, they have not recognized the academic ability of Westerners. They scorned, exaggerated, and abused Western knowledge as ‘one-sided wisdom’ at best. Secondly, they have looked down on the excellence of Western science as a mere handicraft. They considered the excellence of Western astronomy no different than the special abilities of animal and poultry. The sophistication of Western studies was compared to the “delicate handicraft of Japan and Vietnam”. Third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nese academic and Western skills were compared with that between the fundamental comprehension of the aristocracy and a handicraft of the lower class. Finally, in their view,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thodoxy and the heresy is in ‘academic goal’. They pointed out that heresy focuses on the material force as the principal[主氣] and qi(氣) with physical form[形氣], while the orthodoxy focuses on the nature and external necessity[性命] and the moral principle[道理].

Ⅰ. 머리말

Ⅱ. 수용의 논리

Ⅲ. 배척의 논리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