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윤리학에 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윤리적 상대주의로 해석하고자 한다. 윤리적 가치에 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을 윤리적 절대주의로 이해할 경우 윤리적 문장과 윤리학의 무의미성에 대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코라 다이아몬드는 바로 이런 관점에서 무의미에 관한 엄격한 이론을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이는 질병의 원인은 그대로 놔둔 채 질병의 증상만 치료하려는 방법으로 보인다. 비트겐슈타인이 윤리학을 무의미하다고 본 이유는 윤리적 가치의 절대성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윤리적 가치에 대한 입장을 상대주의적으로 해석할 경우 윤리학의 유의미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입장도 좀 더 일관되게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특히 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나타난 언어의 절대주의적 사용에 대한 비판, 유아론, 그리고 행복론을 근거로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을 상대주의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In this paper, going against the main trend, I offer a relativist interpretation of the early Wittgenstein s view of ethical values. If we give an absolutist interpretation, we will have to take Wittgenstein’s claims on ethics at face-value, i. e., the claims that ethical sentences are nonsensical, and there is no subject called ‘ethics’. Cora Diamond, best known for her new, resolute reading of Wittgenstein’s Tractatus, adopts this line of approach. According to Diamond, the early Wittgenstein literally wants readers to take ethical sentences as a collection of nonsense. In my view, however, her approach is wrongheaded, because she fails to give due attention to the real cause of the nonsensicality of ethical sentences. According to Wittgenstein s diagnosis, it is the absolutist view of ethical values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nonsensicality of ethical sentences. This, I argue, leaves us room for interpreting the early Wittgenstein’s view of ethics from a relativist perspective. I also try to defend a relativist interpretation drawing on Wittgenstein’s views of solipsism and happiness.
I. 들어가기
II. 다이아몬드의 해석
III. 귀류법적 해석
IV. 언어의 절대주의적 사용과 상대주의적 사용
V. 의지와 유아론
VI. 행복한 사람의 세계, 행복하지 않은 사람의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