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료해석 능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Perceptions about Causes and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Their Data Interpretation Ability

  • 317
141459.jpg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구온난화 원인과 영향에 대한 인식과 자료해석 능력을 비교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 과학영재 32명과 일반학생 45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과 질적 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매연, 이산화탄소, 배기가스 등을 지구온난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은 서로 다른 비과학적 개념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빙하, 해수면 상승을 공통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전문적인 과학 개념을 더 가지고있었다. 셋째, 자료해석 능력에서는 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자료를 세밀하게 관찰하여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bility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causes and effects of global warming. For this study,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subjects (32 gifted students and 45 non-gifted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commonly perceived soot, carbon dioxide, and exhaust gas as a major cause of global warming, but both of them also had different non-scientific concepts. Second, althoug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perceived glaciers and sea level increase as common effects of global warming, gifted students had more scientific concept than general students. Third, in the data interpretation ability, the gifted students were more detailed and observing data than the genera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for raising awareness about the causes and effects of global warming we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