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자유학기제에서 지역연계 체험활동과 인프라 구축 방안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es of Local Linking Experiential Activities and Infrastructure Plans in Free Semester System

  • 382

자유학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자유학기 활동과 이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는 지역연계 체험활동을 어떻게 활성화하고, 또 체험 인프라를 구축할 것인가의 문제가 자유학기제의 성패를 결정짓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도 교육청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계획안에 제시된 ‘지역 연계 체험 활동 설계 운영 방안’과 ‘지역 인프라 구축・운영 방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같은 특성을 분석을 토대로 현재 시행 중에 있는 자유학기제 활동의 활동 방안 구성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 두 방안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틀로서 명목적방안과 실천적 방안의 구성요건을 설정하였다. 이 같이 구성한 분석 틀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시도 교육청에서 제시한 두 방안은 구현성과 실천성이 결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방안의 실천성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현장 교사들은 이 두 영역의 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시・도 교육청은 자유학기 활동과 관련된 각 영역의 방안을 구성할 때에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실천적 방안의 3 필수요건, 즉, 방안 제시 요소, 방안 구체화 요소, 방안 실현 요소를 충족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In our Middle School Free Semester free semester activities play a pivotal role at the center of which local community-based activities are. Thus, how to activate free-term activities, how to activate community-based experiential activities and how to build an experience infrastructure for them will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In order to meet this necessit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a local linking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plans for planning and operating a regional experiential infrastructure presented in the operation plan for the free semester in middle school of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o provide an implications for the activity plan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tructs the analysis tool which consist of the nominative and the practical plan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two plans were lacked of their specificity and practicality.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need to meet the 3 essential requirements of the practical plan proposed in this study, namely, the presentation plan, the specification plan, and the implementation plan.

1. 서론

2.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계획의 문서 체계

3. 자유학기제 운영 계획 방안의 특성 분석 대상 및 특성 분석 틀

4. 분석 결과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