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구나 호(Laguna Lake)는 필리핀(Philippines)에서 가장 큰 담수호이며 주로 양식, 수력발전, 운송 및 상수도 산업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라구나 호의 다양한 이용목적은 물 이용자 간의 경쟁과 반목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 다양한 오염원으로 인하여 수질은 악화되고 있으며, 수생태계의 건전성도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구나 호(Laguna Lake)의 수질평가를 통해 현 수질관리 정책을 생태학적 환경관점에서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라구나 호(Laguna Lake)의 NH3, BOD, Cl-, pH 및 TSS 등의 수질오염물질 농도는 필리핀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DENR)에서 제시하는 수질기준을 모두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의 수질은 유역에서 발생하는 농업 및 도시 강우유출수로 인한 오염물질 부하량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파시그 강(Pasig River)의 염분과 오염된 수질도 라구나 호(Laguna Lake)의 수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기적인 수질 분석 결과는 라구나 호수(Laguna Lake)의 수질이 강우량과 관련되는 계절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라구나 호(Laguna Lake)의 수질영향인자 연구결과는 필리핀의 환경관리기법을 향후 호내관리에서 유역관리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선진국형 유역관리대책의 연구 및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Laguna Lake is the largest inland fresh water body in the Philippines. It primarily serves as a site for aquaculture, hydropower, transportation, and water supply industries. Due to Laguna Lake’s diverse functionalities, competition among water users became prominent. Water quality began to deteriorate due to various pollutant contributions in this process, thereby affecting the soundness of the aquatic eco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urrent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from the viewpoint of ecological environment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of Laguna Lake. Concentrations of water pollutants such as ammonia (NH3),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loride (Cl-), pH, and total suspended solids (TSS) exceeded the water quality standards of the Philippines’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DENR). The water quality of the lake was also affected by the pollutant load due to agriculture and urban stormwater runoff in the watershed. The salinity and contaminated water from Pasig River also affected the water quality of Laguna Lake. Long-term water qu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Laguna Lake is also influenced by rainfall-related seasonal variations. The results of the water quality analysis of Laguna Lake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techniques of the Philippines should be changed from the conventional water management into an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scheme in the futur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and introduce advanced watershed management measures in the Philippines based from the policies of other developed countries.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