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생태계에서 대기로의 토양의 이동은 토양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임령이 다른 잣나무림을 대상으로 생육기 동안의 토양 호흡값과 토양 내 뿌리의 양, 미생물 개체군 생물량을 측정하여, 토양호흡량이 임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뿌리와 미생물 개체군이 얼마나 기여할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 온도와 토양 호흡은 임령과는 상관없이 유사한 패턴을 보여 7월까지는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였다. 산림의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호흡량이 대체적으로 높았다. 토양 내 뿌리와 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임령이 높을수록 토양 내 존재하는 지름 2 mm 이하인 세근의 양이 많았으며 토양 미생물 개체군의 생물량이 많았다. 토양에서 뿌리를 제거하였을 때 70년 숲은 변화가 없었으나, 40년 숲에서는 토양 호흡값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산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토양 호흡량이 커지며, 식물 뿌리와 특히 토양 미생물이 토양 호흡값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tand age on soil CO2 efflux in plantation Pinus koraiensis, and to elucidate what extent plant (fine) root and soil microbial biomass contribute to the whole soil CO2 efflux. In three age classes (20-yr-old. 40-yr-old, 70-yr-old) of plantation Pinus koraiensis, in-situ soil respiration, plant fine root biomass and soil microbial biomass were measured from April to November in 2004. Regardless of stand age, soil temperature and soil CO2 efflux increased until July then slowly decreased. Soil respiration was higher in 70-yr-old stand than in 20- and 40-yr stands. Fine root biomass and soil microbial biomass was also higher in 70-yr-old stand. Root exclusion decreased soil respiration in 40-yr stand, but not in 70-yr stand. Soil microbial biomass was higher in 70-yr stand, but there was no monthly variation between July and November. The results suggest that soil respiration may increase as plant stand ages and microbial contribution could play more roles in older stands.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4. 고 찰
5.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