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인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하여 논에 도래하는 조류의 현황과 개체군 변동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무인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조사와 전문가에 의한 현장 조사를 비교하여 개체군 변동 특성의 유사성을 파악하였고, 무인모니터링 시스템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류의 개체군 변동을 시공간적으로 평가하였다. 무인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조사는 철원, 당진, 부안, 해남 4곳에서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06:00부터 20:00까지 14시간 동안 10분 단위로 촬영하였다. 전문가에 의한 현장 조사는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당진에서 월 1회 수행되었다. 무인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하여 조사기간동안 한 대의 무인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총 91,980장의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이미지 자료를 분석하여 백로류, 도요물떼새류, 오리기러기류의 동정 및 개체군 변동을 확인하였다. 무인모니터링 시스템과 현장 조사를 비교해보면 수조류 군집 변동패턴이 현장 조사 결과와 유사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백로류의 개체군 변동의 유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인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역별 백로류의 개체군 변동 특성을 확인한 결과 지역에 따라 개체군 변동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인모니터링 시스템은 월 단위, 일 단위, 분 단위와 같이 다양한 시간 스케일에서 개체군 변동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장기적인 자료 축적은 논습지를 활용하는 수조류 군집의 세부적인 장기변동 특성뿐만 아니라 미래 예측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population dynamics using unmanned monitoring system in rice paddy. We compared the similarity of population dynamics of birds between unmanned monitoring system and field survey, and evalu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opulation dynamics of birds using the unmanned monitoring system. The monitoring using the system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2014 to December 31, 2016 in Cheolwon, Dangjin, Buan, and Heanam. The images from the system were obtained at 10-min intervals from 6:00 to 20:00.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ce a month in Dangjin from January to December 2016. Total 91,980 images were obtained from the unmanned monitoring system. We extracted the number of individuals for herons, shorebirds, and waterfowl from the images. The population dynamics of waterbirds using the unmanned monitoring system were similar to that in field survey. Especially, population dynamics of herons was more similar than other waterbirds. It was identified that the population dynamics of herons using the unmanned monitoring system was different among the Cheolwon, Dangjin, Buan, and Heanam. Furthermore, the unmanned monitoring system was available on various time scale such as month, day, and minute. It is expected that long-term data storage using the unmanned monitoring system can be used to identify in detail and forecast the population dynamics of birds in rice paddy.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논의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