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2568.jpg
KCI등재 학술저널

탐진강 하구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적 특성 분석 연구

Analysis of Biodiversity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amjin-river Estuarine Ecosytem

  • 48

본 연구는 탐진강 하구역 생물군집의 군집 동태 및 분포 조건을 통해 기수지역 생태계 관리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분류군별 전문가들이 정밀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식생을 포함한 총 11개 생물 분류군에 대한 생물종의 다양성, 풍부성, 상관관계 및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식생은 하천의 물리적 환경과 염도 등 서식처 환경조건에 따라 7개 상관형에 18개 단위식생의 분포가 확인 되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야생생물 9분류군을 포함해 총 1,125개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각 분류군별 종조성과 분포 특성은 넓은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자연성 높은 기수역의 하구역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특히, 하천을 중심으로 유속과 염도, 토성 등 기반환경 차이에 따른 종다양성과 그 분포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일부구간에 분포하는 물막이보, 인공제방과 같은 인위적 교란요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환경조건 하에서 생물종의 다양성과 그 분포는 전반적으로 자연성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물막이보, 간척, 주기적인 제방관리, 경작지 확장 등에 의한 야생생물의 서식처 소실과 축소, 생태계 연결성 단절 등은 지역 생태계의 다양성과 건강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탐진강 하구역의 생물 분포 현황과 그 특성을 규명하는 최초의 정밀조사로서 탐진강을 비롯한 하구역에 대한 각종 개발압력 및 훼손 위기에 대응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ynamics and distributional condition of biological community and to suppor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stuarine ecosystem management by using the intensively surveyed results by each taxon experts around Tamjin river. We analyzed the biological diversity, abundance, correlation among speci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bout 11 taxa groups including vegetation, fish, birds, mammals, etc. in the Tamjin river estuarine ecosystem. We classified vegetation types into 7 physiognomic types and 18 communities according to habitat conditions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s and salinity. In total, 1125 species including 9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were identified in research area.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taxon were corresponded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estuarine ecosystem. Especially, the species diversity and distribution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rive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low rate, salinity, and soil. Despite the disturbance factors such as barrage and levees, the biodiversity and its distribution were evaluated to be high level under the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However, loss or reduction of wildlife habitat due to reclamation, embankment, barrage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farmland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threat to the diversity and health of the local eco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cope with various development pressure and damage crisis of the whole estuaries including Tamjin river.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4. 고 찰

5.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