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자본과 학업성취도 향상: 가정과 학교의 상호작용효과

Social capital and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interrelated effects of families and schools

  • 567

사회자본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자원으로 주목받아왔지만 개념이 광범위하여 이를 경험적으로 측정하는 데 여러 가지 한계가 있었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독립적으로 다루었던 특성들을 포괄하여 관계적, 구조적, 인지적 사회자본으로 구조화하고,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 간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여 각 유형의 사회자본이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추가적 설명력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교육종단연구의 2010-2012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62개 중학교, 2,058명의 영어성적 변화를 3수준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업성취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과 동시에 상호작용을 통해 추가적인 설명력을 갖는 사회자본의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가정의 구조적 사회자본과 인지적 사회자본은 학교에서 동일한 유형의 사회자본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고 있었다. 또한 관계적 사회자본은 구조적 사회자본이 학업성취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함으로써 하위계층 학생들의 성취도를 향상시키는 지원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에 유의미한 가정과 학교의 사회자본의 특성과 그 작용 기제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

Social capital created in disparate contexts like family and school are interrelated to facilitat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broadness of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has made empirical analyses difficul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tried to construct the concept with relational, structural, and cognitional dimensions and to clarify the features of each dimension in order to capture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construct,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English grades of 2,058 students of from 62 middle schools during the period from between year 2010 to 2012. We used 3-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ith panel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irst structural and cognitional social capital from family does improv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hen school offers the same features of social capital. Also, relational social capital does help improving the level of achievement of low class students by moderating the influence of structural social capital. These findings do have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and the mechanism they work to positively influ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