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사회정서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써 개발된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2개교의 5학년과 6학년 61명의 학생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사회정서적 유능성 검사도구, 수업 동영상, 학생 활동지, 교사 일지, 학생 인터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구조 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증상을 완화시키고, 사회정서적 지식 수준을 증가시키며, 사회정서적 특성 및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 관리, 책임 있는 의사결정의 SEL 핵심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EL이 초등학교 고학년과 청소년들에게 지속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고 그들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증진시키는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applied by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that was developed as a strategy for implementing SEL in school curriculum. For this,the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was applied to sixty one students who were 5th and 6th graders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Strong Kids assessment tools,lesson videos, students worksheets, teachers journals, students interview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usic subject related SEL program applied by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has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emotional symptoms, increasing the level of their social-emotional knowledge, and improving their social-emotional assets and resilience. Also, the program helps in improving SEL core competencies which are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skills, and responsible decision-making. This indicates that SEL is necessary to be consistently implemented to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dolescent, and is useful for enhancing their social-emotional competence.
Ⅰ.서론
Ⅱ.초등 음악교과 SEL 프로그램의 목표 및 구성
Ⅲ.연구방법
Ⅳ.연구결과
V.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