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지금까지 시도된 교육개혁이 만족스러운 성과를 거둘 수 없었던 것은, 그것이 국가, 교사, 학교의 역할에만 관심을 집중한 나머지 교육의 또 다른 주체인 학생들의 의식과 자아변화를 포착하여 이를 교육개혁의 의제 속에 포함시키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 글은 자본주의 시장과 인터넷의 영향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자아변화를 분석한다.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시장의 포위망 속에 포위되어, 소비양식이 곧 존재양식이라고 믿고, 스스 로를 상품화하며, 내적 능력보다는 외적 매력과 감각적 이미지에 집착한다. 그러나 학교는 청소년 들의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채 과거처럼 규율과 통제로만 일관하고 있다. 또한 많 은 청소년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만나고, 일하고, 놀고, 그리고 즐긴다. 이들 중 상당수는 24시간 접속 중에 있다. 인터넷 자아의 특성은 접속성이다. 사이버 공간은 광장의 규칙을 따르는 오프라 인과는 달리 청소년들이 해방감을 맛보고 접속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유의 공간이지만 그 대 가로 지불해야 할 상실과 희생도 적지 않다. 그것은 인간의 원초적 감각기능을 무력화시키고 감각 적 확신, 기술과 능력에서 나오는 자아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자기 존중감을 약화시킨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이 글은 학교가 청소년들의 상품자아와 인터넷 자아에 대응하기 위 해서는 스스로 울타리를 허물고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의 일상생활 속으로 과감하게 들어갈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자유와 해방을 통한 내적 충일감과 자기 존중감을 길러주고 원초적 감각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 구성에 세심한 배려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있다.
During the last two decades, various educational reform agenda have been presented and discussed by the Korean government, its affiliated institutes such as KEDI, or NGO. Some of the agenda have been institutionalized and implemented in effect. However, many parents, teachers, and journalists argued that the Korean educational realities have never improved and even got worse. From this point of view, they think that the anomie observed in lots of schools is the presages of the “collapsing” class. This paper argues that their criticism is not valid. On the contrary, it insists that “collapsing” class stems from the school's inability to adjust to adolescents' new selves due to rapid social changes. It also argues that both the reform agenda and the critics miss the positive seeds for a new paradigm which the adolescents' disordered and uncontrolled behaviors, called “collapsing,” implied. In this context, the paper analysed the influence of the market and the internet on adolescent's self,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oday the adolescents love to create their own unique styles with selecting clothes, shoes, accessories and ornaments on the market. The Korean youth culture, like that in the Great Britain and the U.S.A., has generated a sort of renegade styles in terms of verbal expression, way of dress, hair style, and music style. The Korean adolescents enjoy to wear hip-pop pants and K-Martin combat boots. The meaning originated in the blacks and punks was already lost. The style market found profit in this renegade culture. It speaks to not the mind's eye but the eye's mind through various strategies and tactics such as advertising, packaging, design and managed corporate image. There are only passive consumers and then matters of quality or substance are totally overshadowed. The schools, however, have failed to adapt themselves to the adolescents' commodity selves. The paper found that almost all the adolescents enjoy to play games, chat with their 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