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입시경쟁 교육체제에서의 청소년 학습문화

The Learning Culture of Korean Juveniles in the Education System of Competitive Enterance Examination

  • 462

이 연구는 청소년 학습문화의 성격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된 연구이다 이 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청소년들은 학교학습에 대하여 어떠한 가치지향성을 가지고 있는가’, ‘청소 년 학습행동의 실제는 어떠한가’, 그리고 ‘왜곡된 주류교육문화에 비추어 본 청소년 학습문화는 어 떠한 성격을 갖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교육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학습참여방식을 學歷?學閥취득이라는 학습목 표와 제도화된 수단으로서 학교교육을 수용?거부하는 형태에 따라 학교교육의존 입시집착형?사 교육의존 입시집착형?무기력 학습기피형?도피반항 학습거부형?새로운 학습체제구축형으로 나 누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일탈학습문화를 특징짓는 학생들의 일탈학습행동으로 입시집착학습 행동(입시에 관련 없는 수업회피, 학원공부?학원숙제하기), 수업과 상관없는 딴 짓 하기(수업시간 잠자기, 핸드폰으로 문자메세지 보내기, 잡담하기, 옆 친구와 장난치기), 수업의욕상실 행동(수업준 비 안 하기, 빈 가방 들고 학교등교, 무기력한 상태로 멍하니 앉아있기), 등교거부 관련 행동(지각, 조퇴 혹은 무단조퇴, 무단결석 등), 반항?심약행동(자퇴, 가출, 자살 등), 대항적 탈학교행동(탈학 교모임을 통한 학습, 홈스쿨링, 학력?학벌철폐 연대 참여) 등을 지적하고 있다. 주요 결론은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학교를 지배하고 있는 왜곡된 주류교육문화는 청소년들의 교 육에 대한 가치관을 오도하고 일탈행위를 유발하도록 한 결과 청소년들의 학습문화도 교육의 본 질에서 벗어나는 일탈학습문화로 변질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일탈학습문화는 왜곡된 교육문화의 아류문화로서 하위문화적 성격과 반항하고 대항하기도 하는 대항문화적 성격을 갖는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ant studying culture of juveniles with the assumption that it results from the distorted culture of main stream education. For this reason, three questions have been raised: “What have juveniles value orientation on the goal of school education?,” “What are learning activities of juveniles which are associated with school education?” and “Compared with the distorted main stream culture, what is the deviant learning culture of juveniles like?” Main points are as follows. First, juveniles' anomic deviations could be divided into 5 types when school education is accepted or rejected as an institutional means to achieve an academic background and clique. Those five types include clinging learning only to prepare the entrance examination within school or a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unconcern of learning, retreatism to avoid learning, and deschooling. Next, many activities are indicated as students' learning deviations which feature the deviant learning culture. Those activities include sleeping during class time, activities that show a tendency to cling to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excessively (for example, avoiding classes which are not concerned with the entrance examination, studying at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nd doing assignments for those educational institutes), doing something else in class (sending massage through a cellular phone, chatting with classmates, and mischief-making). In addition, activities which result from the loss of interest in class such as not preparing for class, commuting with an empty bag, sitting spaced out could also be included. Activities concerned with refusing to go to school such as being late for school, getting permission to leave early. leaving without permission, being absent without reporting could indicate students' learning deviations which feature the deviant learning culture as well. The main conclusion is that the distorted ma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