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불만족과 특목고 진학 경쟁이 사교육 시간과 비용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school dissatisfaction and competition for entering a selective high school on students' private tutoring time and expense
이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가 경험하는 학교 교육에 대한 불만족과 진학 경쟁이 사교육 시간과 비 용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육종단연구의 1차년도부터 4차 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4년 동안 표본 학생들의 사교육 시간과 비용이 학교 불만족 여부와 진학 경쟁 여부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기간 동안 학교 불만족 변인은 사교육 시간이나 비용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진학 경쟁 변인은 중학교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사교육 시간과 비 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불만족 변인은 고등학교 1학년 시점에서 사교육을 증가시 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학교 시기 특목고 진학 경쟁을 하였던 학생들은 경쟁이 종료된 고등학교 1학년 시점에서는 사교육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는 중학교 시기 과도한 사교육 유발 요인이 학교 불만족보다는 특목고 진학을 위한 경쟁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런 결과는 사교육 경감 정책이 학교교육을 내실화하여 사교육을 흡수하고자 하는 데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며 상급학교 진학 경쟁을 완화할 수 있는 대책이 함께 고려되어야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dealt with one of the most debated issues in Korea: What factors boost students' expenditure of time and money on private tutoring? In this study, school dissatisfaction and competition were selected as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 the fluctuation of time and expense of private tutoring that students have invested in from 7th grade to 10th grade were examined. For the analysis, hierarchical growth modeling was applied to the four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result, the competition for entering selective schools, such as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and the science high school,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emand for private tutoring in terms of time and expense. The school dis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didn't so much influence the change of students' private tutoring during middle school years. It was, however, significantly related with increase of private tutoring at the 10th grade. These results imply that competition for entering upper schools could cause students to participate in additional private tutoring, and suggested that a government policy for reducing private tutoring would be more effective when it includes controls to manage students' competition for selective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