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의 관점에서 교원평가의 쟁점을 분석해보고, 의사소통행 위의 합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교원평가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현 교 원평가제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무시함으로써 무엇보다 교원평가의 아킬레스건이라 할 수 있는 평 가정보의 타당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현 교원평가제는 평가의 타당성의 문제에 계 속적으로 직면할 수밖에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수업행위의 개선에 있어 교사의 ‘합리적 동기’를 자극하고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이해와 합의에 따른 ‘의무형성의 잠재력’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한계 를 노출하고 있다. 학생들의 수업평가가 학교조직행위가 아니라 교육적 상호작용의 일환이라면, 학생과 교사 간에 막혔던 의사소통적 관계를 구축하고, 의사소통의 주체와 주체로서 상호이해를 통해 수업을 개선하 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의 수업에 대한 관찰자적 평가가 아닌,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이해지 향적인 관계 속에서 교사의 수업이 개선되고, 학생들은 그에 대한 ‘보증이행’으로 수업에 열심히 참 여하는 상호변화의 효과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면 수업평가의 본래적 취지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고 보여진다. 이러한 의사소통적 합리성이 타당하다면, 현 교원평가의 프레임을 학생과 교사간의 상 호이해지향적인 피드백과정으로 바꾸는 제도개선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uggest how the teacher evaluation should be changed to fulfill the rationality of Habermas's communicative action.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has failed to solve the validity of the claims of the evaluators, such as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which is the Achilles' heel of the evaluation, by disregarding the rationality of the communicative action. Thereby, the teacher evaluation has inherently embedded the critical problem of the validity. Moreover, the teacher evaluation faces the limitations that it cannot stimulate the rational motive of the teachers in improving their teaching and cannot activate the potential of duty formation in teachers towards teaching the students, which is built upon mutual understanding and consensus between them.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the dialogical relations between the communicative subjects and to improve teaching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if the students' evaluation of the teaching is to be educational interaction rather than organizational behavior. It would be best if the teaching is improved through mutual understanding-oriented relationships rather than through evaluating relationships, such as those between observers and observed teachers, and if change can simultaneously occur within the students for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learning. If the rationality of the communicative action is agreed upon, the transformation of the framework of the teacher evaluation should be made possible through government's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