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중학생 1988년과 2007년 비교 -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콜라
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중학생 1988년과 2007년 비교 -

A Study of Socio-economic Background Variables'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Level : Comparing between 1988 and 2007 Cohort in Seoul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88년 서울시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와 2007년 한국교육종단자료를 비교하여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결정에 가정배경과 학습경험변인들의 효과가 어떻게 변화되었는 지를 밝혀보기 위한 것이다.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결과 비교를 위해 동일한 분석 모형을 두 시점의 자료에 적용해 본 결과,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가정배경의 효과가 지난 20년 동안 2배 이상 높아졌으며, 사교육 참여 여부가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도 상당히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생들의 교육포부 수준이나 행동특성 등이 미치는 효과는 20년 동안 오히려 절반 정도로 줄어들었다. 요컨대 지난 20년간 서울시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결정에 가정배경 변인 들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강해졌으며, 학생들의 사회심리적 변인과 교육적 노력 정도를 나타내는 학 습경험변인들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점차 한국 사회가 가정배경에 따른 학업성취도 격차가 심화되어 왔으며 개인적인 노력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 이 줄어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해 볼 때, 학교교육을 통해서 가정배경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좀 더 기울여 나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change in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and study experience variables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level in Seoul between 1988 and 2007 by comparing respective data. For this purpose I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and analysed data using the HLM statistical model, especially growth modelling. In this process I controlled related variables which could affect the students' achievement results, for example gender; SES; attitude toward school education; private tutoring experiences; educational aspiration level; anti-school behaviors; school level variables, including mean SES of each school; and etc. The results of this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1988 data, SES variables explained 8.9% of the achievement variance. And in the case of the 2007 data, SES variables explained 10.1% of it. The ratio of explaining variance of study experience variables was 17.9% in the case of the 1988 data but 4.7% in the case of the 2007 data. As a result, during last 20 years the effect size of SES variables on achievement level has grown, but study experience variable's effect has decreased gradually. Second, the effect size of father's education level variable in 2007 was 0.175, and this value is twice the 1988 data result. In the case of private tutoring experience, in the 2007 data the effect size was 0.138 and in the 1988 data it was -0.072. But the educational aspiration level's effect of the 2008 data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1988 year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 of SES on achievement level in 2007 was higher than it was in 1988. But the effects of student's socio-psychological variables(attitude toward school education, educational aspiration level and anti-school behaviors) was less important than in 1988. So I can conclude that over the last twenty years the Korean education system has moved in a less egalitarian direction. But more data is needed in order to find out the reasons

로딩중